-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등차수열
· 일반항은 대입하기 쉬운식이라고 알면되나요? a(n+1)=an+2를 an=a1+2(n-1)로 a1만 알면 나머진 대입하면 쉽게 구해지니까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 판별식에서 이미 두 근이 실수라는 걸 따졌으므로, 두 근의 차의 제곱이 0이상이라는 조건은 더 따질 필요 없는 것 아닌가요? ( 두 근이 모두 실수이고, 실수의 제곱은 당연히 0이상이 되니까요) 아니면 두 근이 실수일 조건과 두 근의 차의 제곱이 0 이상일 조건을 독립적으로 생각해야 할까요? 만약 그렇다면 왜 그런 건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지수
· 강의에서는 (n제곱근 a)가 (a의 n제곱근) 중 양수인 근이라고 설명하셨지만 p7에는 -8의 세제곱근이 -2, 허수1, 허수2 라고 하네요. 여기서는 세제곱근 -8이 -2라고 하는데 양수가 아니네요. n제곱근 a는 평소에는 양수 이지만 a가 음수라면 실수인 거듭제곱근도 음수가 되는 건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8) - 곡선의 접선과 미분
· aaa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8) - 곡선의 접선과 미분
· sdf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8) - 부정적분
· 부정적분 넓이에서 왜 x축아래는 음순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나머지정리
· 소순영 선생님께서 4-5문제가 예전에 나왔던 수능 문제였다고 하셨는데, 혹시 4-5 문제가 수능 문제들 중에서 어느 정도 난이도였나요? 수능의 난이도를 대략 알고 싶습니다.(상,중,하로만 답변해주셔도 감사하겠습니다.)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삼차방정식과 사차방정식
· 합(m+2) 과 곱(m+5) 가 왜 0 보다 큰건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삼차방정식과 사차방정식
· 만약에 삼중근을 가지는 상황에서도 기본문제12-4 번의 (3)에서 중근을 가진다고 하나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최대와 최소
· 최고차항이 0일 때와 아닐 때를 나누는 것은 판별식이 2차함수에서만 사용가능한 것 이라서 그런가요?? 최고차항을 고려하지 않았을 때 답이 틀리는 문제를 1개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
[차현우] 기본편 미적분 (2018) - 수열의 극한
· 기본문제 1-3 과 같은 무한대-무한대 꼴의 무리식의 극한은 수열의 극한인가요? 아니면 그냥 함수의 극한인가요? 1-3 (1) lim(n->무한대) (루트 n+2 -루트 n) 은 그냥 x를 n 으로 바꾼 것 같은데 함수의 극한으로도 볼 수 있나요? 이 문제가 수열의 극한쪽에 있어서 수열의 극한인지, 아니면 함수의 극한인지 헷갈립니다. 아니면 둘 다 인가요? -
[차현우] 기본편 미적분 (2018) - 수열의 극한
· 리미트의 값은 유사치가 아니라 정확한 값이라고 하셨는데 수학2 기본에서 기본문제 1-8을 보면 f(x)의 값을 g(x)에 넣을 때 정확한 0이라는 수가 아니라 0+인지 0-인지로 구분합니다. (1)은 f(x)가 좌극한은 0-, 우극한은 0+ (2)는 좌극한과 우극한 모두 0+ 이런 식으로요. 선생님 말씀대로라면 f(x)가 0-던 0+이던 g(x)에는 무조건 정확한 값 0을 넣어야 하는 거 아닌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삼각방정식과 삼각부등식
· 10단원 제일 첫 강의에 11:22에서 선생님이 말씀은 sin 60도= 2분의 루트 3 이라고 하셨는데 sin 60도= 3/2 라고 적으셔서 문의드립니다.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역함수를 구하는 문제를 풀 때, 문제 옆에 x의 범위에 대한 추가조건이 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조건에 따라 역함수 정의역의 별도 조건이 발생하여 표기해 주어야 하지만, (ex. 기본문제 4-3 (1)) x의 범위에 대한 추가조건이 제시되어 있지 않은 대부분의 문제들(지수, 로그의 정의에 의한 범위만 존재, 별도 명시 x)은 문제 풀이 이후 역함수의 정의역에 대한 별도 범위가 나타나지 않더라고요. (ex. 기본문제 4-3 (3)) ---> 로그함수/지수함수의 역함수를 구하고자 할 때, 별도 조건이 있는 경우에만 원래함수 치역의 범위에 유의하며 문제를 풀고, 별도조건이 없는 경우에는 식만 구해도 된다고 일반화해서 생각해도 될까요? -
[소순영] 기본편 확률과 통계 (2018) - 확률의 덧셈정리
· 연습문제 6-13에서 주사위가 '서로 다르다'는 언급이 없는데 왜 조합이 아니라 순열을 사용하나요 ?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삼각형과 삼각함수
· 왜 대변의 길이비와 각의 비가 일치하지 않나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일차부등식과 연립일차부등식
· ㄷㄷ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연립방정식
· 연습문제 13-19번 답지 풀이에서 y를 소거한 경우, z를 소거한 경우 각각 x>=6, x<=19라는 x의 범위를 구하는데 여기서 x를 소거한 경우를 고려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그리고 x의 범위를 구한 후 원래 식에 대입해 식이 성립하는지 확인하는데 이렇게 하는 이유는 무엇이고, 서술형 답안 작성 시 이 부분도 적어야 하는건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지수
· 안녕하세요! 강의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 강의 내용이 아니라 다른 질문을 드려 죄송하지만 혹시 미적분 기본편 강의도 추후 강좌 개설이 이루워지는지 궁금하여 질문 남깁니다! 좋은 강의 제공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
[소순영] 기본편 수학(하) (2018) - 경우의 수
· 그림에서 P,Q,R,S,를 정하는 기준을 잘 모르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