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현우] 실력편 공통수학1 (2025) - 인수분해
· 선생님 판서 풀이가 잘못됐어요 xy+1을 X로 치환하면 식은 X제곱 형태가 되어야하는데, 선생님은 X라고 썼습니다.아이가 이해가 안간다고 해서 들여다보니, 풀이에 실수가 있네요..정정해주세요ㅡ.ㅡ -
[차현우] 실력편 공통수학1 (2025) - 인수분해
· 제가 이상한 거일지도 모르겠지만... 혹시 왜 x+5랑 x+3만 들어갈 수 있는지 물어볼 수 있을까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I (2018) - 부정적분
· x세제곱 마이너스 4x가 아니라 x세제곱 마이너스 4x제곱 아닌가요? -
[차현우] 실력편 공통수학1 (2025) - 항등식과 미정계수법
· 무슨말인지 모르겠어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I (2018) - 극대·극소와 미분
·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선생님. 다름이 아니고, 5-7번에서 m을 구할 때 ‘이 그래프가 미분이 된다고 가정하면’ 이라고 말씀하시고 나서 풀이를 해주셨는데, 미분이 되지 않을 때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설명해주지 않으셔서 질문드려요. 문제에서는 그저 연속이라고만 나와있었는데, 미분 가능한 함수라면 연속이지만 연속이라고 해서 모두 미분 가능한 함수는 아니지 않나요? 이 함수가 미분 가능하지 않을 때에는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요? 해설지처럼 증감표로 위아래를 직접 따져보는 방법밖에 없나요? -
[차현우] 실력편 공통수학1 (2025) - 인수분해
· 왜 나머지가 최대공약수를 인수로 가질 수 밖에 없는건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이차부등식과 연립이차부등식
· 15-6번에서 B-a를 제곱을 하시는데 여기서 의문이 드는게 여기서 제곱할 경우 B-a이 음수일 경우에 제곱할 경우 9보다 커질 경우도 존재하는데 어떤 근거로 제곱을 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제가 전달을 잘못한 것 같습니다 제가 질문 드리고 싶은건, 예로 하나 들자면 -3 < 2 가 있을때 이를 제곱하면 9 > 4로 부호 방향이 바뀌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위 문제에서 베타가 알파보다 큰 것은 문제에 주어져 있으나, 이것이 정확히 부호(양인지 음인지 모름)를 알려주는것이 아니기에 B-a의 부호를 정확하게 어떻게 알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평면좌표
· 이 그림에서 평행사변형이 변ab랑 변bd가 평행한 평행사변형 하나,변ad랑 변cb가 평행한 평행사변형 하나 해서 총 2개의 평행사변형이 나오므로 두개의 d값이 나오는 거 아닌가요? -
[차현우] 실력편 확률과 통계 (2018) - 이항정리
· 최종적으로 6C2랑 6C4 아닌가요?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 (2018) - 정적분의 계산
· (1)과 (2) 모두 x를 a가 들어간 꼴로 치환합니다. 여기서 저의 의문은 문제에서 이미 a라는 문자를 사용하고 있고, a는 상수인데 무작정 x를 a를 이용한 식으로 치환이 가능한 이유가 이해가 안 됩니다. 이렇게 치환을 했을 때, (1)에서는 asin세타가, (2)에서는 atan세타가 가능한 모든 x를 커버하는 식이 될 수 있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합성함수와 역함수
· b가 허수면 안 되는 이유가 뭔가요?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 (2018) - 함수의 극한
· 덧셈정리를 사용하지 않고 sinx/xcosx-2sin2x/xcosx 이 때 각 항의 극한값이 1, -4 이므로 1-4= -3 이렇게 해도 문제가 없을까요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 (2018) - 방정식·부등식과 미분
· 질문을 올리고 1주 이상이 지났는데 아직도 답변을 못 받았습니다. 빠른 답변 부탁드립니다.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 (2018) - 방정식·부등식과 미분
· 풀이에 "x > 1에서 생각하면 (1)에서 e^x > x"라고 되어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런데 e^x는 x의 범위에 상관없이 항상 x보다 크지 않나요? 왜 굳이 x > 1인 구역에서만 생각을 해야 하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8) - 상용로그
· 선생님 자취의 길이라는게.. 이 문제와 같이 범위가 부등호로 나타내어져도 구할 수 있는건가요? 문제에서는 a는 2보다 크거나 같고 3보다 작아야하고 b는 이러한 a에 따라 0보다 크거나 같고 2보다 작아야한다고 나오는데 크거나 같다의 범위에서는 길이를 구하는 방법이 이해가 가지만 무엇보다 작다라는 범위에서는 이해가 가지 않아요 그 점보다 작은 모든 점은 다 포함되고 결국에 그 같은 부분인 한점만이 포함되지 않는다고 했을때 길이를 원래 구하는것과 똑같이 구한다면 저 한점의 길이는 존재하지 않는건가요? 선이 점의 연속이라고 배웠었는데 그럼 점 하나의 길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했을때 이게 무한히 연속되어봤자 그럼 결국에 길이는 존재하지 않는건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직선의 방정식
· 직선 ax+by+c=0의 수직선을 y-y1=b/a(x-x1)으로 놓아주셨는데, 정석 교재에서는 (ii), (iii)의 경우가 더 있습니다. 이때 ii는 이해가 가지만, iii의 경우, x=x1로 적혀있는데, y1은 어떻게 처리된 것일까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직선의 방정식
· 붉은색으로 작성해주신 내용, x-y+1=0, 2x-y+1=0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 중 x-y+1=0을 제외. 라는 내용이 x-y+1=0, 2x-y+1=0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 중 2x-y+1=0 을 제외. 라는 내용으로 수정되어야 정석 교재와도 일치하는 것 같습니다. 제 질문이 맞는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8) - 삼각함수의 그래프
· 그러면 반지름 길이또한 (x,y)에 의해서 결정되는거니 결국 점 (x,y)의 y좌표와 y=sin(theta) 의 y좌표는 (theta)로 인해 정의역만 재설정되는 것일 뿐, 치역이 같아져서 같은 것 아닌가요?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 (2018) - 수열의 극한
· 극한개념을 잘 설명해 주심을 감사합니다. 작은수의 극한은 더 작은수에 가까워진다.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I (2018) - 함수의 미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