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8) - 함수의 극한
· 극한값이 존재한다는게 극한값이 특정한 실수값이라는 말인가요?? 아니라면 f(x)/x 의 극한이 0, 특정한 실수, 무한대가 될 수 있는데 어떻게 바로 f(x)가 1차식인것을 알고 극한값을 1이라고 하셨나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8) - 함수의 극한
· 그lim f(x)/g(x) 극한값이 가지고 0이 아니면 f가 0일때 g도 0인데요 만약 극한값이 0일때 f가 0이고 g가 0이면 절대 극한값이 0이 나올수없어서 그런건가요?? 아니면 나올수있는데 구지 0이아니여도 극한값이 0이기때문에 그냥 저렇게 쓰는건가요 문제풀때 너무헷갈리네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하) (2018) - 원의 방정식
· 그런데 A(-2.0)은 왜 제외하지 않는건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하) (2018) - 집합
· 유제 20-1의 3번의 해설에는 공집합 B의 원소의 개수를 1개라고 했는데, 공집합은 원소가 0개라서 n(B)=0, 답은 25개 아닌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인수분해
· 유제 2-12는 어떤식으로 푸는지 알려주세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수학적 귀납법
· ---------------------- ------------------------------------------------------------------------------------------------------------------------------------------------------------------------------------------------------------------------------------------------------------------------------------------------------------ ----------------------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수학적 귀납법
· 시간시간등록 : 00:00:00 강좌파일찾기선택취소Q&A인덱스리스트첨부파일북마크 이미일만 확인 가능합니다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4) - 이차 · 삼차함수
· 유제 8-16번 풀이과정에서요. 5번 선택지에서 왜 f(x)를 x라고 두고 f(-x)를 -x로 두는지 모르겠어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최대와 최소
· 답에는 {a ≤ -1 일때 -2a-1, -1<a<1 일때 a제곱, a≥1일때 2a-1} 라고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a=1일때 a제곱=2a-1이고, a= -1일때 a제곱= -2a-1이므로 [a<-1일때 -2a-1, -1≤a≤1일때 a제곱, a>1일때 2a-1] 이라고 해도 되지 않나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4) - 유리식과 무리식
· 첨부파일 확인부탁드립니다.^^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상용로그
· x=0.347이라고 말씀하신 것 이후로 이해가 하나도 안돼요..조금만 더 자세히 설명해주세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하) (2018) - 명제의 증명
· 여기 부분에서 산술기하에 왜 -1을 포함시켜요?...ㅠㅠ -
[소순영] 기본편 수학(하) (2018) - 무리함수의 그래프
· 기본문제 28-5(2)번 답지에 V={y|y는 2보다 크거나 같다}라고 되어있는데 왜 2보다 크거나 같아야하는지모르겠네요. 또 왜 V라는 조건이 있어야 하는지 없으면 안되는지도 궁금하네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4) - 이차함수와 판별식
· 좌표상에서 축과의 거리가 같은 두점을 제외한 두점을 지나는 기울기가 양수인 이차함수는 한개로 정해질수 있지않나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나머지정리
· 나머지정리는 다항식을 일차식으로 나눌때 나머지 구하는 방법이잖아요 근데 왜 이차식으로 나눌땐 안되요? 기본문제 4-3번같은경우에요 f(-1)과 f(2)를 대입하며 나머지정리를 사용하는게 아닌가여? 또 58쪽에서 항등식의 성질과 나머지정리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4) - 근과 계수의 관계
· 계수가 실수인 모든 이차식은 복소수 범위에서 항상 두 일차식의 곱 꼴로 인수분해 할 수 있다는 게 이해가 안갑니다 꼭 계수가 실수여야만 하는 이유가 뭔가요? 복소수계수는 인수분해가 안된다는 건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4) - 근과 계수의 관계
· 수1 정석 160쪽에 기본문제1-5 에 (2) 번 두 일차식의 곱으로 인수분해 된다고 할 때 같은 일차식의 곱으로 인수분해될수도 있으니까 그냥 판별식을 =0 이라고 놔도되지않나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실수
· 선생님 왜 m을 3L,3L+1,3L+2로 분류하는거예요?그냥 3L로 해야하는 거 아니예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등차수열
· 기본 수학 I 연습문제 (15~22번) (P.184)X 인덱스 리스트 북마크 강좌Q&A 강좌Q&A 시간: 00:00:00 시간선택 파일찾기 등록 | 취소 첨부파일은 이미지파일만 2MB까지 가능합니다. 답변은 나의 강의실 > 강좌Q&A 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Playing 00:14:52 / 00:41:05 기본 수학 I 연습문제 (15~22번) (P.184) -
[소순영] 기본편 수학(하) (2018) - 합성함수와 역함수
· 25-4 번에소 원소의 개수가 짝수일때 왜 화살표가 직선으로 못가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