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순영] 기본편 미적분II (2014) - 함수의 극한
· 136쪽에서 lim sin1/x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나와 았는데요.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x-0그러면 cos1/x의 값도 존재하지 않는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4) - 원의 방정식
· 원의 방정식 연습문제 17다시 23번에요 구해야 하는 원의 반지름을 r로 한다면 루트(2r제곱)+r+2=루트(7제곱+6제곱)로 풀어도 답이 나와야 하지 않나요? 왜냐하면 x축과 y축에 접하니까 원점에서 중심까지의 거리는 루트(2r제곱)이고 구해야 하는 원의 중심에서 원래 있던 원까지의 거리는 r+2이니까 이것들을 모두 더하면 (7,6)까지의 거리가 될것 같아서요.괄호 앞에 붙인 루트는 괄호가 끝날때까지 그리고 2r 제곱은 제곱을 먼저 계산하고 2를 곱하시면 되요. 한글파일로 수식을 하려고 했는데 루트 찾기가 어려워서요. -
[소순영] 기본편 미적분I (2014) - 함수의 미분
· (2x+(루트)2)(x(제곱)-(루트)2x+1)+(x(제곱)+(루트)x+1)(2x-(루트)2)=4x(세제곱) 약분하면 무리식은 다 지워지는 것 아니예요? 그럼2x(x(제곱)+1)+2x(x(제곱)+1)이 되서 4x(세제곱)+4x아닌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4) - 부등식의 영역
· (2m-6+2m+2)(4m-2+2m+2)<0 (m-1)m<0 이 어떻게 이렇게 되나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4) - 도형의 이동
· b-2/a-1x(1/-2)=-1 2a-b=0가 되는 것이 이해가 안갑니다. 계산 과정 자세한 설명부탁드립니다.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09) - 무한급수
· 순환소수를 계산해서 순환소수로 표기하는 문제인데 답이 0.4가 나왔는데, 0.399...로 표기하라고 나오더라고요, 0.400...으로 표기하면 안되나요? 안되면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
[소순영] 기본편 미적분I (2014) - 함수의 미분
· (2x+(루트)2)(x(제곱)-(루트)2x+1)+(x(제곱)+(루트)2x+1)(2x-(루트)2) =4x(세제곱)이 되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
[소순영] 기본편 미적분I (2014) - 함수의 미분
· (3)5(3x(제곱)+2x+1)(네제곱)(6x+2)=10(3x+1)(3x(제곱)+2x+1)(네제곱)이되는 이유랑 (4)3(x+1)(제곱)(x(제곱)-1)(제곱)+(x+1)(세제곱)x2(x(제곱)-1)x2x=(x+1)(네제곱)(x-1)(7x-3)이 되는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인수분해과정이라서 생략하신것 같은데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
[소순영] 기본편 미적분I (2014) - 함수의 미분
· y=1/x f'(x)=limf(x+h)-f(x)/h =lim1/x+h-1/x/h =lim-h/h(x+h)x 가 되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
[소순영] 기본편 미적분I (2014) - 수열의 극한
· 선생님, 연습1-4 의 3번 에서,,,,lim n^2an = lim (2n-1)an x n^2an / (2n-1) 이므로 4x무한대 라서 발산이라고 하셨어요. 그런데, 수열의 극한에 대한 성질은 그것이 수렴할때만 성립하는 것 아닌가요?그런데 어떻게 무한대로 발산하는 lim n^2an / (2n-1) 를 그냥 곱할 수 있나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4) - 등비수열
· 월이율 1%, 매월마다 복리로 매월 1일에 100만원씩 5년동안 적립하면 만기일 얼마를 찾을 수 있느가? 단,만기일은은 마지막 불입금을 낸 때로부터 1개월 후이고, 1.01= 1.82로 계산한다 여기서 월이율이 1%가 1.01이 되는 이유도 모르겠고 5년동안 적립했는데 100x1.01+100x1.01+...+100x1.01(60제곱)이 되는이유도 모르겠습니다. 분명히 5년이라고 했는데 왜 60제곱이 되나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4) - 도형의 이동
· 직선x+2y=10 원x(제곱)+y(제곱)-2x-4y+1=0 b-2/a-1x(-1/2)=-1 2a-b=0 이 되는게 이해가 안되고 기울기-1/2인것도 이해가 안 갑니다.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4) - 도형의 이동
· 6. 그래프 y=x 대칭이동 한 것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1.y=f(x+2)=1은 x축이 -5가 되는 것이 이해가 되지않습니다. 6번은 그림에 대한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
[탁성우] 기본편 수학 I (2014) -
· 주어진 문제에서 실수가 되게 하려면 분모의 3-x의 값이 0이 되어도 괜찮지 않나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4) - 다항식의 연산
· 8페이지 맨 아래에요 x세제곱 - 3x제곱y + 3xy제곱 - y세제곱 은 x,y에 관하여 동차식이다. 이것이 무슨 말인가요? x에 관하여도 3차, y에 관하여도 3차니까 동차식이라는 말인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4) - 평면좌표
· y=-2x+2...1 y=mx-2m+4...2 2를 md에 관하여 정리하면 (x-2)m+4-y=0 이 직선은 m의 값에 관계없이 두 직선 x-2=0.4-y=0 의 교점A(2,4)를 지난다. 한편 1은 x축과 점 (1,0)에서 만나고, y축과 점 Q(0,2)에서 만나는 직선이다. x축과 y축을 그래프에서 찾는게 너무 막연해서 혹시 다르게 찾는 방법없나요? 1식이나 2식에서 대입한다든가?자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4) - 평면좌표
· s가 a+35/8,b+28/8이되는이유를 모르겠습니다.그리고 a+35/8=a, b+28/8=b a=5이고 b가 4가되는이유를 모르겠습니다. -
[소순영] 기본편 기하와 벡터 (2014) - 음함수
· xy를 미분할 때 질문드립니다.. 보통 미분은 정의대로 표현할 수 있을텐데 xy의 미분은 곱의미분으로 표현하면 (x+h)(y+h) - xy + x(y+h) -x(y+h) / h 이렇게 하면 구할 수 있더라고요. 그런데 궁금한점은 어떻게 x와 y를 같이 두었던 식을 저 미분계수정의 Lim->0, f(x+h)-f(x)/h 의 f(x)부분에 올려두었을까?입니다. 미분계수의 정의는 기하로부터 시작된다고 이해하고있습니다. 그러나 xy는 기하적으로 설명이 잘 안됩니다. xy를 미분계수 f(x)자리에 둘수 있다는 점을 어디서부터 이해하면 될지 모르겠습니다. 그냥 x에대한 y의함수 와 y에 대한 x의 함수의 '수식적인' 의미로 받아들이는것 뿐인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4) - 다항식의 연산
· 4번 식에서 -3 루트 x 는 무리식이라서 단항식이 아닌 거죠?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4) - 함수
· 124쪽 기본문제 6-4에 모법답안을 보면 m과 n을 0에 대입하고 f(0)은 1/2이 아니라는거 까지는 이해가 되는데 f(0)=0이라는게 이해가 안됩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