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4) - 근과 계수의 관계
· 선생님! p. 160 기본문제 10 - 5 (2)이요!! 모범답안을 보면 Q = {x + 2y + 1 - 루트 (D₁)} {x + 2y + 1 + 루트 (D₁)} 이것이 두 일차식의 곱이므로 D₁이 완전제곱식이 되어야 한다고 나와있는데요,, 왜 완전제곱식이 되어야 하나요? D₁이 y² - 4y + 1 - k인데요!! 지금 이 D₁에 루트가 씌워져 있잖아요~ 루트가 씌워져있으면,,,,, 차수가 달라지는 거 아닌가요???? 아니면 그냥 루트 그 차체를 상수항으로 보면 안되나요?? 그냥 이차항도 아니고,, 루트가 씌워져있는데, 차수가 그대로 유지 되나요?? 왜 루트 D₁이 완전제곱식이 되어야 하나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4) - 근과 계수의 관계
· 쌤~ ㅎㅎ 안녕하세요 ㅎㅎ p.155 기본정석 첫번째 " 이차식의 인수분해"라고 나와있는데요~~ ㅎㅎ 방법을 보면, 일단 이차방정식 ax² + bx + c = 0 을 인수분해 하여 근을 구한 후 x - α , x - β 를 곱하고 ★★ " 이차항의 계수인 a를 곱한다"★★ 이렇게 나와있는데요!!!!!! ,,, 근 α, β은요!!!!! 이차항의 계수가 이미 a인!!!!!!! 이차방정식의 근 아닌가요????? 근데,, 모든 항의 계수가 이차방정식과 동일한 이차식의 인수분해를 할 때 왜 x - 근 을 한것에 이차항의 계수 a를 또 곱해주나요?? 이미 구한 근이, 이차항의 계수가 a인 이차방정식의 근인데,,, 그말은 그 근은 이차항의 계수가 a 이차방정식을 만족한다는 의미인데요,,,, 왜 계수를 한번 더 곱해주나요? 이미 근 속에 이차항의 계수 a도 포함되어 있는거 아닌가요??? a를 곱한다는 의미는 구한 α,β가 이차항의 계수가 1 인!!!!! 이차방정식의 근이라는 의미잖아요 ;;; 그래서 a를 곱하는 거 아닌가요? ㅠㅠㅠㅠ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4) - 집합의 연산법칙
· 첨부파일로 확인해주세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4) - 최대와 최소
· 안녕하세요. 연습문제 18번에서 x의 범위를 구할때 강의에서 선생님이 "x가 0보다 같거나 크다" 라고 하셨는데요, 저 혼자 풀때는 가격을x원 올리면 사람수는 5000-10x이고 사람의 수는 0보다 같거나 크고, 절대로 음이 될수가 없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5000-10x가 영보다 같거나 크다고 두어 결과적으로 x는 0보다 같거나 크고, 500보다 작거나 같다고 범위를 구해놓고 풀엇는데요, 제가 잘못 풀었나요..? 이렇게 구하면 안되는건가요..? 혹시 그렇다면 왜 그렇게 풀면 안되는지까지 설명해주세요. 감사합니다.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4) - 평면좌표
· 안녕하세요 선생님, 이 문제에서 A(4.0), B(0,2)로 놓고 풀던데 A좌표를 A(0,4)그리고 B좌표를 B(2,0)으로 놓고 풀수는 없나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4) - 근과 계수의 관계
· 선생님 기본문제 10-2에 (1)번이요,,주어진 식에 1+루트3을 넣어도 m 값이 나와야 하는거 아닌가요?왜 안나오죠?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4) - 인수분해
· 선생님 최대공약수에서요 왜 숫자는 무시해도 좋나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4) - 실 수
· 모든 정수를 3으로 나눈 나머지에 의하여 분류할때 3n+1, 3n+2, 3n 으로 나누어 지는 데요.. 정확히 3등분되나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4) - 실 수
· 다항식의 나눗셈에서 나머지는 음수여도 상관없나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4) - 복소수
· 강의 1. 허수와 복소수 2. 복소수의 연산 [1] 37분에 소순영 선생님께서 복소수의 나눗셈을 설명하시는 파트에서 식을 실수화(=유리화)하면 그것이 나눗셈이라고 설명하시는데 왜 그게 나눗셈인거죠? 그저 분자와 분모 사이의 관계를 실수화(=유리화)로 좀 더 쉽게 나타내는 것으로 나눗셈이 끝인건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4) - 집합
· A교집합B가 0인데 10이라고 잘못 하신것 같네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4) - 집합
· 선생님께서 부분집합의 개수를 설명하실때(1)이 1=2의 0승이라고 하셨잖아요. 그런대 이거 0이 되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4) - 등비수열
· 유료강좌인데, 연습문제도 전혀 없고 특히 등비수열단원의 기본문제 11-8,11-9 활용문제는 강의 조차 없네요. 빠른 답변 부탁드립니다~!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4) - 직선의 방정식
· 262쪽 16-7번의 (2)번 advice에서 직선1의 꼴로는 직선2x+y+1=0울 나타낼수없다는게뭔소리에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4) - 집합
· 선생님 수2 연습문제 강의 언제 올라오나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4) - 근과 계수의 관계
· 기본문제 10-2-(1)번에서(1+루트3)α=2가 α=루트3-1가 되는 과정이 이해가 안가요 설명 부탁드려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4) - 근과 계수의 관계
· 샘~ ㅎㅎ p. 159 기본문제 10-4에서요~~(2)구할 때α² - α + 1 = 0 → (α-1)(α²-α+1) = 0이렇게 구하셨잖아요~~그런데요,, α - 1 ≠ 0 이라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4) - 근과 계수의 관계
· 쌤~ ㅎㅎ p. 158 유제 10-7에서요~~두 근의 합 : (a+3b) / ab = 1두 근의 곱 : (a+b) / ab = -1이 둘을 연립해서 풀어야 하잖아요~그때 1/b + 3/a = 11/b+ 1/a = -1 이라는 두 식으로 쓰셨는데요~ab가 분모에 있으므로 a ≠ 0, b ≠ 0 이기때문에~~저렇게 각각 분자에 대한 분모를 쪼개어서 약분할 수 있었던 거죠?0이면,, 약분 안되잖아요 ,,,, p.s 질문하다 보니,, 궁금해 졌는데요,,,, 0 도 약분이 되나요??? ;;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4) - 근과 계수의 관계
· 쌤~~ ㅎㅎ 이차방정식에서요~만약 계수가 유리수 이고, 어느 한 근이 3 - 루트 5 라면,그것의 켤레인 3 + 루트 5도 근이 된다고 하셨는데요~왜 그렇게 되는 건가요??이유가 무엇인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4) - 근과 계수의 관계
· 샘~ ㅎㅎ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요~|α - β|의 값에 대해서루트 (b² - 4ac)가 루트 안이 일차항의 계수가 짝수라고 해서루트 (b'² - ac) 가 안된다고 하셨는데요,, 왜 안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