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현우] 기본편 미적분 (2018) - 곡선의 접선과 미분
· 4분의 파이면 90도 회전이니까 수직인 것 아닌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8) - 함수의 미분
· P64쪽 3-16번 문제에서 f(x)를 미분하여 f ‘ (x)를 만들 때 범위를 x<=O 과 x>=1 등을 x<0과 x>1 등으로 범위에서 왜 0을 제외하는 건가요??(3단원 마지막 강의 :23분 50초)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다항식의 연산
· 그러면 만약에 여기서 XY의 계수라고 하면 2X가 계수가 되는 건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최대와 최소
· 질문이 있어서 글 올립니다. (x의 제곱) + (y의 제곱) = 4 인데 최댓값, 최솟값을 구한 걸 보면 이가 성립되지 않더라고요, 이 식이 성립하지 않아도 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8) - 속도·가속도와 미분
· 유제 8-8이나 8-7 등등 시각에 대한 함수의 순간변화율을 묻는 문제에서 구해진 순간변화율은 무엇을 뜻하는 건가요? 예를 들에 유제 8-8에서 길이가 매분 0.002cm씩 증가하는 정육면체 부피의 순간변화율은 모서리가 3cm 일 때 0.054(단위생략) 이었는데 이것은 1분당 정육면체의 부피가 0.054만큼 커진다는 건가요..? 특별한 뜻이 있나요? 위치에 대한 순간변화율이 속도 이듯이 부피, 길이에 대한 순간변화율도 시간에 따라 값이 일정하게 커진다는 특정한 의미가 있는건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하) (2018) - 다항함수의 그래프
· 유제 26-1번에서 정의역,공역의 범위에 대한 그래프를 그릴 때 왜 해설에 있는 것처럼 그려야하는 지 궁금합니다. -
[소순영] 기본편 수학(하) (2018) - 합성함수와 역함수
· 여기서 삼차식이면 ax^2을 세제곱하는 거 아닌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하) (2018) - 합성함수와 역함수
· 여기서 집합 A의 원소가 4개 그러니까 a,b,c,d가 있을 때에는 a가 b로 가고 b는 a로 갔는데 c는 c로 가고 d도 d로 가면 항등함수가 안되나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하) (2018) - 합성함수와 역함수
· 유제 25-13번에서 해설에 있는 것처럼 풀지 않고 g(fog)^-1(g(7))) 이렇게 나타낸 뒤에 그냥 g(7) 구하고 그 값을 (fog)^-1에 대입하고 나온 값 또 g(x)에 대입해서 풀었는데 안 풀려서요,, 해설에 있는 방법 말고 이렇게 풀면 안 되는 건가요, 아님 제가 잘못 구한건가요? 이 방법으로 구할 수 있으면 어떻게 구하는 지 자세히 알려주세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 f(t)=0 의 근이 -3,1로 f(x)=0의 근과 같은데 그러면 여기서 f(t)=f(x)로 치고 문제를 푸는 건가요? f(t)=0의 근이 왜 -3,1로 나오는지 잘 이해가 되지 않아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 근호안에 미지수가 있으면 일차식이 되지 않고 무리식이 되어서. 근호를 없애주기 위해 판별식이 완전제곱식이어야 하는 건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8) - 함수의 미분
· 연속에서 함수값하고 극한값이 동일하다고 하면 않되나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하) (2018) - 합성함수와 역함수
· 왜 f( )에서 괄호 안 부분이 x가 아니면 항상 합성함수인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하) (2018) - 합성함수와 역함수
· 3x-1=t f라고 치환했는데 t부분에 x를 다시 대입하는 부분이 잘 이해가 안돼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 여기서 왜 - 뒤에 괄호를 쓰지 않나용..? -를 분배해야하지 않나요,,,? {x-(2-루트 3)} 아닌가요...ㅠㅠ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8) - 함수의 미분
· 왜 3(x2승 - 5x)의 2승이 판서 나용처럼 바뀌는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일차ㆍ이차방정식
· 선생님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습니다~ 기본문제 7-8번처럼 이차방정식에서 도형의 길이를 구하는 모든 문제에서는 한 변을 1이라고 잡아도 되는건가요 ㅠㅠ? 아니면 '비'를 구하라고 했을 때만 가능한 건가요? 알려주세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어서 이 게시판에 글 남깁니다. 기본문제 9-4(2) 문제에서 루트 안에 수를 완전제곱식 형태로 나타내서 루트를 없애야지 ax+by+c 의 형태로 만들 수 있다고 나와있더라고요. 다른 일차식에도 루트를 사용하지 못하나요? 왜 ax+by+c 가 성립하기 위해서 루트가 있으면 안되는지 궁금합니다.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삼차방정식과 사차방정식
· 52분 56초 12-9번에서 ①D=(m+2)^2-4(m+5)>0이니 m^2>16 이라서 m<-4, m>4인데 m>6이라고 하셨어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다항식의 연산
· 선생님 혹시 x(x-1)이 5보다 작을 수도 있음에도 불구하고 나머지에 5를 더하는 이유가 x는 미지수여서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