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현우] 기본편 미적분 (2018) - 함수의 극한
· 이렇게 풀어도 되나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하) (2018) - 명제와 조건
· 소리가 안들려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하) (2018) - 함수
· 보기1번에서 2,3,4번이 함수가 아니면 무엇인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나머지정리
· -
[소순영] 기본편 수학(하) (2018) - 함수
· 여기서 공집합은 왜 빼는 건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8) - 함수의 미분
· 해설강의에서 연습문제 3-17 풀때 선생님께서 f(x)식을 구하고 나서 f'(x)의 식을 미분을 하셔서 구하시는데 왜 도함수는 식이 x값의 범위에서 등호를 빼시는 건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8) - 함수의 미분
· 저는 연습문제 3-12 를 풀 때에 f'(2)=24 라는 조건을 구하기 위하여 부등식의 양변에서 f(0)을 빼서 구하는 방법이 아니라 f(x)는 식으로 볼 때 다항함수이므로 미분가능하기 때문에 부등식의 양변을 미분해서 24<_f'(x)<_6x^(2) 이렇게 식을 구한 뒤에 x=2를 대입하여서 f'(2)=24라는 조건을 구했는데 이것도 맞는 풀이인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8) - 함수의 연속
· 유제 2-4 재질문 드립니다. 유제 2-4 해설에 보면 x=1, -1 일 때에는 좌극한 우극한 값을 따로 나누어서 극한값이 존재하는지를 먼저 확인하고 함숫값과 비교합니다. 그런데 x=2일 때에는 좌극한 우극한을 따로 나누지 않고 바로 lim f(f(x)) 이렇게 계산하는데, 어떤 것은 조사할 때 좌우극한을 따로 나누고 어떤 것은 그렇지 않은지 기준이 뭔가요? x->2.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8) -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
· 주어진 식을 미분하면 f(2x-1)=2x-2 이니까 x자리에다가 1/2x + 1/2를 대입해서 f(x)=x-1로 만들면 안되는 건가요? -
[차현우] 기본편 미적분 (2018) - 치환적분과 부분적분
· p255에서 note 부분에 적분상수 c를 생략하고 나중에 적어주라고 했는데 이러면 식의 값이 달라지는거 아닌가요? ㄷ.ex)p255 보기 1 정답은 xe^x-e^x+c 라고 되어있는데 u= e^x+c이니까 xe^x+cx-e^x+c가 되는데 값이 달라집니다. -
[소순영] 기본편 수학(하) (2018) - 다항함수의 그래프
· 기함수는 원점에 대칭으로 홀수차항만 있는 함수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y=0, 즉 x축은 원점에 대칭이며 y축에도 대칭입니다. 차수로 본다면 상수함수이기에 짝수차항인데 y=0 이라는 함수를 어떻게 봐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소순영] 기본편 수학(하) (2018) - 명제의 증명
· 144페이지에 기본23-2문제의(1)에서 b제곱이 3의배수이고 3은 소수이므로 a는 3의배수이다.라는 부분이 이해가 안되는데 왜 이렇게 되나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하) (2018) - 집합의 연산법칙
· 제가 연필로 써놓은 것도 맞다고 볼 수 있지 않나요? 아니라면 '임의의'라는 말 때문인 것인지 궁금합니다. 임의의라는 것이 어떤 집합이든 아무거나 다 가리킬 수 있고, X라는 집합은 딱 정해진 것이기 때문에 바뀔 수 없다는 것인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8) - 함수의 극한
· x의 m승이 fx의 최고차항을 알려주는것 아닌가요? -
[차현우] 기본편 미적분 (2018) - 함수의 미분
· 저거 음함수의 미분법으로 미분할 수 있나요? -
[차현우] 기본편 미적분 (2018) - 넓이와 적분
· 0에서부터 2 사이의 대소관계만 파악하고, 0보다 작을 때와 2보다 클 때의 대소관계를 파악하지 않고도 어떻게 바로 그릴 수 있는 건가요? -
[차현우] 기본편 미적분 (2018) - 넓이와 적분
· 역함수는 함수가 일대일 대응일 때 존재한다고 알고 있는데, 주어진 함수의 역함수가 존재한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 건가요? 적분 문제에서 주어진 함수는 언제나 역함수를 구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되나요? 그럼 적분이 어려운 어떤 함수든 조건 없이 역함수의 적분을 이용할 수 있는 건가요? -
[차현우] 기본편 미적분 (2018) - 여러 가지 정적분에 관한 문제
· x가 lnx와 일대일 대응이기 때문에 어떤 조건 없이 그냥 치환해줄 수 있다고 생각했는데 맞나요?? -
[차현우] 기본편 미적분 (2018) - 여러 가지 정적분에 관한 문제
· 왜 x가 루트3탄젠트세타가 되나요? -
[차현우] 기본편 미적분 (2018) - 여러 가지 정적분에 관한 문제
· 보기 2의 (2)에서 x>1이라는 조건은 왜 있는건가요?? 왜 로그함수의 정의역 맞춰서 x>0이 아니라 x>1인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