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8) - 함수의 극한
· 강의에서 대입했을 때 분모가 0이 아닌 함수는 대입하면 극한값을 구할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 y=x(x<0 또는 x>0), 2(x=0) 이라는 함수에는 적용이 안되지 않나요? -
[차현우] 기본편 미적분 (2018) - 함수의 미분
· 왜 x의 m 제곱이 x의 -m제곱이 되나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항등식과 미정계수
· 교재 p.56 기본문제 3-5 (2) 질문입니다. (x^2+4)(x+2)(x-2)=(x-2)^2Q(x)+a(x-2)에서 (x-2)로 나누는 순간 x=2가 될 수 없기때문에 나눈 후에 (x^2+4)(x+2)=(x-2)Q(x)+a 식에 x=2 대입 못 하지 않나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항등식과 미정계수
· 교재 p.49 advice 1 내용이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이 되는 조건을 구하여라' 라는 표현은 충분조건을 말하는 것 아닌가요? p.49 보기1 문제에서 필요충분조건으로 구해야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굳이 (i), (ii)를 모두 보여야하나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하) (2018) - 명제와 조건
· 유제22-5(3)에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ax=0이면 a=0이라고 했는데 x가0이고 a가 다른 수여도 ax가 0이 될 수 있지 않나요? 답은 참이라고 되어있는데 왜 그런건가요? 명제의 대우가 참인건 이해가 가는데 대우가 참이면 명제도 참이여야 하는데 명제가 참인 것이 이해가 안 가서 질문남깁니다. -
[차현우] 기본편 미적분 (2018) -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 사인으로 합성 할때는 사인이 x좌표, 코사인이 y좌표, 코사인으로 합성할 때는 코사인이 x좌표, 사인이 y좌표인 이유가 있나요? -
[차현우] 기본편 미적분 (2018) -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 코사인 제곱 + 사인 제곱 = 1 을 이용하는 것은 사인 삼각함수의 덧셈정리에서만 이용되고 만약 코사인으로 합성하면 이용 못하는 건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 10-3.이차방정식의 근의 분리 강좌 13분 즈음에 선생님께서 '실근의 부호가 똑같아'라고 말씀하시는데 실근의 부호가 똑같은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그리고 항상 두 실근의 부호가 똑같은 건 아니지 않나요? 자세하게 설명 부탁드려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삼각함수의 정의
· 저는 첨부한 사진처럼 풀이했는데 선생님께서 구하신 값이랑 사진의 값이랑 같은 값인가요? 아니면 제 풀이가 틀린 것인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삼각함수의 정의
· 저는 첨부한 사진처럼 풀이했는데 선생님께서 구하신 값이랑 사진의 값이랑 같은 값인가요? 아니면 제 풀이가 틀린 것인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복소수
· 많은 문제에서 혼동이 되는 사항은 아니지만 복소수 특히 허수를 상수라고 될 수 있나요? -
[차현우] 기본편 미적분 (2018) - 수열의 극한
· 수2에서 극한의 대소관계에 등호가 빠져도 성립했는데 수열의 극한에서도 마찬가지로 성립하나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지수방정식과 로그방정식
· 연습문제 5-20 풀이 질문 선생님께서 이 이차방정식이 적어도 하나의 "1이 아닌" 양의 실근을 갖도록 해야 한다고 하셨는데 왜 a값이 1이면 안 되는 건가요? 이 문제에서는 a가 밑의 자리에 있기 때문에 그렇지만 선생님께서 예를 들어 이차방정식이 ax^2-4x+a=0 같은 형태이면 x=1일때 a의 값이 2이므로 a는 2이면 안된다고 하셨어요. 그런데 왜 x=1일 때 a의 값은 성립되지 않는건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삼각형과 삼각함수
· 기본문제 11-14 (2) 에서 P, Q, R는 왜 산 꼭대기와 한 평면이 될 수 없나요? 모두 세로의 한 평면 위에 있다고 가정하면 답이 5/4로 다르게 나오네요. 유제 11-23은 방위가 주어졌으므로 3차원적으로 생각할 수 밖에 없는데 11-24은 마찬가지로 왜 한 평면 위에 있지 못하는거죠?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최대와 최소
· 고1 (상) 11단원에 11단원 1강 중에 축의 방정식의 값은 어느 부분에도 속하지 않는 것인가요? 예를 들면 x=1인 축의 방정식이라고 하면 x<1, x>1 로 부분으로 나누어서 하는 부분에서 축의 방정식인 x=1은 왜 빠지는 것인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이차방정식의 판별식
· 문제에 나와있는 식을 x에 관한 방정식으로 만든 판별식은 문제에 나와있는 방정식과는 다른데 왜 문제에 나와있는 방정식에 적용되는 y가 한 개뿐일 때를 x에 관한 판별식에 적용 시키나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지수방정식과 로그방정식
· 연습문제 5-6 설명하실 때 선생님께서 두 그래프의 대칭점을 이용한 다른 풀이도 설명해주셨는데 그게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일단 두 그래프의 교점의 중점이 항상 y축 위에 있고 대칭점이 k만큼 이동하면 대칭점은 k/2만큼 움직인다는 것은 이해가 된 것같습니다 하지만 두 그래프 교점의 중점이 어떻게 두 그래프의 대칭점인 건지 이해가 안됩니다 두 그래프의 교점이 어떻게 두 그래프의 대칭점인 것인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등차수열
· 강의내용중 일반항을 구할때 dn이용하여 구하는 것도 있는데요. n에 1이 아닌 수를 넣어서 a5=d5라고 해도 되나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수학적 귀납법
· 15-3번 부터 15-7번까지 점화식을 변형하여 일반항을 구하였는데요. 일반항 각 문제별로 일반항과 점화식을 모두 암기하고 있어야하나요? 강의중에는 이번 교육과정에는 딱히 외우지않아도 된다고 하셨긴했어요. 그리고 그중에서 15-7번의 피보나치수열은 암기하고 있어야하죠? 그리고 피보나치 수열이란 점화식은 어떤문제에서 쓰일수있나요? 바둑돌 문제에세만 쓰일수 있나요? 그냥 수열계산할때, 피보나치수열을 이용하여 풀어도 상관없는 건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일차ㆍ이차방정식
· 1번 문제의 2번 문제 풀때 구간이 세 구간으로 나뉘고 마지막 구간 x가 5보다 같거나 클때요 ㅣx-5 l 의 부호가 왜 음수가 되나요? 구간으로 치면 0 도 포함이 되는데 그럼 양수도 될수 있지 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