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최대와 최소
· 최대 최소에서 축의 방정식에서 증가 감소를 구분하는데 축의 방정식의 값은 왜 빠지는 것인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인수분해
· 기본문제 2-13 (1)에서 최소공배수와 체대공약수에 왜 -가 안 붙나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수열의 합
· 32,1를 대입하여구하는 방식은 언제이용할수있나요? 그리고 사용하면 않되는 경우도있나요? -
[차현우] 기본편 미적분 (2018) - 극대·극소와 미분
· 00:09:05 저 상황에서 x->(무한대)일 떄 아래로 볼록이고 x->(무한대)일 때, 위로 볼록이라는 걸 어떻게 바로 알 수 있나요?? 저는 저 상황에서 'x->(무한대)면 y->(무한대), x->1+면 y->(무한대) 그리고 x-> -(무한대)면 y->-(무한대), x->1-면 y-> -(무한대)로 발산하는 것들을 다 구한 후에, 함수는 미분 가능하므로, 매끄럽게 이어져야 하니까 선생님께서 그리신 것 같은 개형이 되어야 한다.'라고 생각하고 그렸거든요. 혹시 제가 푼 방법보다 빠르게 그릴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그리고 제가 생각한 방법에 부족하거나 틀린 부분이 있으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차현우] 기본편 미적분 (2018) - 극대·극소와 미분
· 기본문제 9-7이나 9-8에서 주어진 함수들 같은 경우에 함수의 극값을 구하려면 먼저 미분을 해야하는데 이런 복잡한 함수들 같은 경우 함수가 미분 가능한 지 어떻게 아나요? 극값을 구하라고 했으니까 미분 가능하니까 구하라고 했나보다하고 풀면 되나요?? 아니면 배운 미분법 공식들로 미분할 수 있으니까 미분 가능한가보다 생각하면 되나요? -
[차현우] 기본편 미적분 (2018) - 극대·극소와 미분
· 2-a보다 작은 범위, 2-a보다 크고 0보다 작은 범위는 f'(x)에 대입해서 부호를 판정하지 않고 감소, 증가를 어떻게 알 수 있나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8) - 극대·극소와 미분
· 안녕하세요. 이 문제에서 f(x)를 정할 때 바로 엑스 세제곱 빼기 에이엑스라고 하시는데, 이 때 엑스제곱의 계수가 0이라는 것을 어떻게 알죠? -
[차현우] 기본편 미적분 (2018) - 함수의 미분
· 제가 제대로 이해했는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원에서 x와 y의 범위가 x와 y 둘 다 -2보다 크거나 같고 2보다 작거나 같게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cost와 sint는 둘 다 -1보다 크거나 같고 1보다 작거나 같아야 합니다. 그럼 t의 범위가 이를 만족하는 범위를 포함하기만 하면 되나요? 예를 들어 답에서 t가 0보다 크거나 같고 (3/2)(파이)보다 작거나 같다고 하거나 t가 0보다 크거나 같고 5(파이)보다 작거나 같다고 해줘도 되나요? -
[차현우] 기본편 미적분 (2018) - 함수의 미분
· (1) y= (제곱근 x) 에서 정의역이 x는 0보다 크거나 같은 범위인데, y=(x)^(1/2)은 정의역이 x가 0보다 큰 범위인거죠? 맞다면 어떻게 두 함수가 같다고 생각하고 미분을 해 나갈 수 있는 건가요?? -
[차현우] 기본편 미적분 (2018) - 여러 가지 함수의 도함수
· 00:16:20 (y/x)^(1/3) 앞에 - 붙여야하는거 아닌가요? 그리고 y/x가 (tan(세타))³인데, tan(세타)가 음수라면 (y/x)^(1/3)로 표현할 수 없으므로 (밑이 0보다 클 때 유리수 지수를 정의했으므로) 세제곱근 tan(세타)로만 표현 가능한 거 아닌가요? 그래서 -tan(세타)= -(세제곱근(y/x))라고 해야하는 것 아닌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8) - 부정적분
· 00:04:21 두 식이 같은건 두 피적분함수가 같은 함수이기 때문에, 즉 정의역과 공역이 같고 정의역에 대한 함수값이 같기 때문인건가요? 00:04:32 그런데 선생님께서 말씀하신대로 문제를 줬다면, x값과 y값은 정의역이 같지만 다른 값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4)의 식과 다른 것아닌가요? 왜 같은지 잘 이해가 안돼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
[차현우] 기본편 미적분 (2018) - 여러 가지 함수의 도함수
· Q1. 선생님께서 (y/x)의 1/3제곱으로 써도 괜찮다고 하셨는데 y/x가 음수면 이렇게 표현할 수 없지 않나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수학적 귀납법
· 연습문제 15-13 에서 A와 B사이의 거리가 1m 이내일 때에 구간의 크기가 1m보다 크거나 같을 때, 작을 때 이렇게 두가지를 고려해서 풀어야 한다고 하셨는데 왜 A가 그 구간에 있을 때에는 구간의 크기가 1m보다 크거나 같고 경계점에 도달하면 1m보다 작은지, 무슨 뜻인지 잘 이해가 안가요. 설명 부탁드립니다.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등차수열
· 왜 속력의 평균은 산술평균을 이용하지 않고, 좌화평균을 이용하나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8) - 함수의 미분
· 안녕하세요 소순영선생님. 저는 해외에서 선생님 강좌를 열심히 듣고있는 학생입니다. 유형마다 설명을 알아듣기 쉽게 잘 해주셔서 배우는것이 참 즐거워요. 맨날 강의때 골프의상을 입으시는데 선생님 골프 치시나요? 저도 골프 좋아하는데 몇 타 정도 치세요? -
[차현우] 기본편 미적분 (2018) - 최대·최소와 미분
· 닫힌구간 [a, b]에서 함수 f(x)가 연속이면 항상 극댓값>극솟값인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8) - 최대·최소와 미분
· 점 c를 (x,o)으로 놓고 풀면 풀리는데 왜 점 D를(x,0)으로 놓고 풀면 답이 다르게 나오며 그렇게 풀면 왜 안되는지 이유도 설명 부탁드립니다.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삼각함수의 그래프
· 처음 식에서 두번째 식(-3/2..)까지는 알겠는데 그 다음 0이상 3/2이하 부분으로 넘어갈 때 왜 절댓값 씌우면 왼쪽이 1/2이 아닌 0이 되나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삼각함수의 기본 성질
· 97p 기본정석 (1) 상제관계, (2) 제곱관계의 두번째 공식에서 x좌표는 0이 아니어야 된다는 조건은 왜 같이 써주지 않나요?? -
[차현우] 기본편 미적분 (2018) - 급수
· (2)에서 주어진 식은 n이 한없이 커질 때의 극한값을 구하는 것이므로 a1값은 확인하지 않고, n이 2이상 자연수일 떄의 an만 구하고 대입해줘도 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