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I (2014) - 급수
· 해설을 보면 (1) 에서 마지막 부분에 "또, S1 = a1b1c1 에서 c1 = 24/7" 이라고 되어 있는데 왜 그런거죠? -
[원정희] 실력편 수학 I (2014) - 나머지 정리
· 4단원의 나머지 정리 부분에서 필수예제 1번의 2번 조립제법으로 구하는 방법도 사용가능한가요?사용 가능하면 풀이와 사용가능하지 않으면 이유를 알려주세요...조립제법으로 풀었는데 잘 안되서 ㅠㅠ -
[원정희,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II (2014) -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 선생님 미적분 2 필수예제 1-4번에 (1)번 이요정석해답(선생님 해답) 말고 log2b-log2a / b-a = 1(기울기가 1이므로)라고 놓고 풀어도 되나요? -
[원정희,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I (2014) -
· 안녕하십니까 선생님. 저는 선생님의 강좌를 중간고사를 치기 전까지 미분까지 쭉 수강 강한 학생입니다. 선생님의 미적분 강의는 너무나도 저에게 큰 도움이 되었고, 제가 미분을 좋아하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현재 저는 1학년인데, 이번 중간고사의 성적은 평소의 저의 실력에 비해 매우 낮은 점수가 나왔습니다. 원인은 바로 계산 실수 때문인데요 어떻게 하면 이런 계산 실수를 최대한 줄일 수 있을까요? -
[원정희,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I (2014) - 수열의 극한
· 진동중의 항이 1,-1,1,-1,1,-1,...인 수열이 있는데 이러한 진동도 발산에 들어가나요? 발산이란 무한대의 의미로써 쾅~~~~~하고 커지는 거 아니에요? -
[원정희] 실력편 수학 I (2014) - 나머지 정리
· 연습문제 4-11번에서 A=ax+b, B=cx+d 이고 우변에 삼차식이 없으니까 좌변에도 삼차가 생기면 안되서 a=0이라고 하셨는데요...우변에 2차나 1차도 없고 상수항뿐인데 왜 c=0이 아니고 a만 0인가요? -
[원정희] 실력편 수학 I (2014) - 항등식과 미정계수
· 연습문제 3-13번 강의에서 마지막에 나오는 식 중 하나가 2ab=a^2라고 하셨는데 혹시 2ab=-a^2 아닌가요? -
[원정희] 실력편 수학 I (2014) - 나머지 정리
· 연습문제 4-8번에서 선생님께서는 조립제법을 사용해서 풀어주셨는데 a,b에 대한 준식을 (x-1)^2로 직접 나누면 안되나요? 직접 나누어 보니 답이 다르게 나와서요... -
[차현우] 실력편 확률과 통계 (2014) -
· 선생님 수업을 반복해서 듣고 내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 결과 이번 중간고사에서 확률과 통계 과목을 100점 맞을 수 있었어요. 감사드립니다^^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I (2014) -
· 선생님 수업 덕분에 이번 미적분1 과목을 100점 맞을 수 있었어요. 제 주변 친구들에게도 선생님 강의를 들어보라고 권하고 싶네요. 감사합니다!! -
[원정희] 실력편 수학 I (2014) - 이차함수와 판별식
· 22번의 1번 문제에 대하여 제가 제시한 풀이도 맞는지 좀 봐주세요.... 사진 첨부햇는데 파란글씨말고 연필로 쓴 풀이가 제 풀이 방법이에요. 감사합니당^^☆☆☆ -
[원정희] 실력편 수학 I (2014) - 이차함수와 판별식
· 18번 연습문제의 2번에 관한 질문인데요!!!!!! 제가 푼 방식데로 풀엇더니 답이 틀렷는데 왜 이렇게 풀면 안되는건지 설명좀 해주세요... 제가 머리가 나빠서 그러니 알기쉽게 구체적으로 설명좀 해주세요. 감사합니당^^☆☆☆☆ 아 사진 첨부햇어용^^ -
[원정희] 실력편 수학 II (2014) -
· 수학을 좋아하는 한 학생입니다.제가 수학의 정석의 문제중에서 답지에 있는 풀이와 다른 별해를 수집중인데..혹시 선생님의 강의중에서 답지와는 다르게 풀이해주신 문제들을 알려주실 수 있나요... -
[원정희] 실력편 수학 II (2014) - 수열의 합
· 수열의 합은 시그마인데 수열의 곱은 무엇인가요? -
[원정희] 실력편 수학 I (2014) - 방정식의 이론
· x^3 -(2a+1)x^2 +(3a+2) -a-2=0 에서 답지랑 강의에선 처음에 근이1로 나와 조립제법을 써서 인수분해로 (x-1)(x^2-2ax+a+2)가 나오게됩니다. x^2-2ax+a+2 에서 근의공식을쓰고 f(x)에 1을 대입해 나온a를 제외한 범위가 23 이 나온다는것은 알고있습니다. 그런데 제생각은 인수분해하기전에 x^3 -(2a+1)x^2 +(3a+2) -a-2=0 에서 바로 3차방정식의 근과계수관계(세개의 근의 합, 곱 그리고 Discriminant)를 사용해서 풀면어떨까 생각해보았습니다. 그런데 막상 3차방정식근과계수관계를 사용하면, 세개의 근의합은 a>-1/2, 곱은 a>-2 그리고 곱과합은(ab+br+ra)은 a>-2/3 가 나옵니다. 수직선상위에 나타내면 a>-2가 나와서 본래의 답과 일치하지가 않네요, 뭐 전혀 가깝게 갑도 않나오고요 왜그런거죠? -
[원정희,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4) - 방정식의 이론
· 유제 11-7에서 근과 계수의 관계를 쓰면 α+β=2k αβ=k^2-2k-3 이므로 αβ+α+β+1=k^2-2 그러므로 (α+1)(β+1)=k^-2 이때 (α+1)(β+1)는 정수이므로 k는 5≤k≤20일 때, k^-2이 정수가 되는 값 즉 k=5,6,7,8,9,...,20 아닙니까?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
[원정희,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4) - 방정식의 이론
· 필수 예제 11-4의 모범답안 2에서 x는 정수이므로 근호 안은 0 또는 자연수의 제곱이어야한다고 적어놓았는데, 왜 근호안이 음수의 제곱, 그러니까 왜 m^2-6m-3=k^2에서 k는 음이 아닌 정수인지 모르겠습니다.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I (2014) - 함수의 미분
· (리미트 b가 a로 갈 때)|f(b)-f(a)|/b-a에서 b-a에는 절댓값이 붙지 않았는데 왜 |f'(a)|가 되나요? -
[원정희,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I (2014) - 급수
· 등비급수 시그마(r의n제곱+3r의n-1제곱)이 있을때 시그마(r의 n제곱)이 수렴하여야만 시그마의 성질에의해 분리할수 있는건가요?아니면 수렴과 관계없이분리할 수있는 건가요?시그마 n=1부터 무한대까지 갈때 {x의 n제곱+(-x)의 n제곱}/3의n제곱 =8/5라는 문제에서 x가 미지수라서 시그마(x의 n제곱/3의n제곱)과 시그마(-x의 n제곱/3의n제곱)의 수렴 여부를 알수 없어서 분리할수없는 건가요? 전체가 8/5로 수렴하는 것이랑 분리할 수 있는 거랑 관계가 없나요? -
[원정희] 실력편 수학 I (2014) - 근과 계수의 관계
· 필수 예제 10-5(2)도 마찬가지로 x에 관한 이차방정식을 구하라고 할때 반드시 최고차항의 계수가 1 이라는 조건이 없으므로 답이 여러가지로 나올수 있지 않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