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정희] 실력편 수학 I (2014) - 다항식의 연산
· 저번에 질문한 학생입니다.그럼 저는 전개하지 않고 답을 썼는데 틀린건가요??전개하지 않고 답을 쓰는 것과 전개하고 답을 쓰는 것은 무슨 차이가 있나요?문제에서는 전개해서 쓰라는 말이 나와 있지 않습니다. -
[원정희] 실력편 수학 I (2014) -
· 1 강의 개념 7번에서 임의의 A에 대하여, A합X=A 이면 X=공집합, 임의의 A에 대하여, A교X=A 이면 X=전체집합 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 두 명제의 반례로 X=A인 것을 들 수 있습니다. 임의의 X에 대하여 A합X=A, A교X=A 이라고 무조건 X가 공집합, 전체집합이 아닌 것 아닙니까 두 경우 모두 X=A이면 성립할 수 있습니다 2 문제 답변에서 첨부파일 참고하라고 하셨는데 첨부파일 내용이 집합과 관련 없는 부분분수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다시 한 번 더 보내주세요 3 또 잘못 받아서 이번에는 이차합수에 관한 내용을 받았습니다. -
[원정희] 실력편 수학 I (2014) - 다항식의 연산
· 이 문제에서 답은 식을 전개한 꼴인데 식을 꼭 정리해서 답을 써야하나요??이런 문제가 나오면 식을 전개해서 나타내야 하나요? -
[원정희] 실력편 수학 I (2014) - 최대와 최소
· 첨부파일이 전혀 무관한 거네요..' -
[원정희] 실력편 수학 II (2014) - 집합의 연산법칙
· 강의 개념 7번에서 임의의 A에 대하여, A합X=A 이면 X=공집합, 임의의 A에 대하여, A교X=A 이면 X=전체집합 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 두 명제의 반례로 X=A인 것을 들 수 있습니다. 임의의 X에 대하여 A합X=A, A교X=A 이라고 무조건 X가 공집합, 전체집합이 아닌 것 아닙니까 두 경우 모두 X=A이면 성립할 수 있습니다 문제 답변에서 첨부파일 참고하라고 하셨는데 첨부파일 내용이 집합과 관련 없는 부분분수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다시 한 번 더 보내주세요 -
[원정희] 실력편 수학 I (2014) - 최대와 최소
· a+b+c가 3이고 a제곱 + b제곱 + c제곱이 9일 때 c의 최대값은 a b c 가 실수이니 당연히 3이고 a와 b는 당연이 0인데 굳이 풀이대로 풀어야 되는 건가요?아니면 제 생각대로 할시 어떤 오류가 나는 경우도 있는 건가요 -
[원정희] 실력편 수학 II (2014) - 집합의 연산법칙
· 강의 개념 7번에서 임의의 A에 대하여, A합X=A 이면 X=공집합, 임의의 A에 대하여, A교X=A 이면 X=전체집합 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 두 명제의 반례로 X=A인 것을 들 수 있습니다. 임의의 X에 대하여 A합X=A, A교X=A 이라고 무조건 X가 공집합, 전체집합이 아닌 것 아닙니까 두 경우 모두 X=A이면 성립할 수 있습니다, -
[원정희] 실력편 수학 I (2014) - 최대와 최소
· y= -x^2+ax의 함수에서 a가 2이하일때 어째서 x=-1일때 최대값을 갖는 거죠?이거 이해 안 돼서 유제 14-5번도 이해가 안 되네요이거 설명이 부족한 거 같네요.. 꼭짓점이 -1 왼쪽에 있다고 최대값을 갖는다는 게 무슨 말인지.. -
[원정희] 실력편 수학 II (2014) - 부등식의 증명
· 이 문제 산술기하 이용해서 이렇게 풀면 안되나요???(사진 참고해주세요^^) -
[원정희] 실력편 수학 I (2014) - 원의 방정식
· 선생님!!! 원과 직선의 관계에서 접선의 방정식을 보면원(x-a)^2+(y-b)^2=r^2 위의 점 (x1,y1)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x1-a)(x-a)+(y1-b)(y-b)=r^2라는 공식이 있는데요 유도해보려고 노력해도 도저히 안되요? 어떻게 유도되는것인지 설명해주세요^^ -
[원정희] 실력편 수학 I (2014) - 나머지 정리
· 필수예제 4-4번에 x의 3승+1을 인수분해 하는 것까지는 알겠는데, 인수분해한 두 개의 일차식과 이차식의 나머지는 각각 -2와 x-6인데 이 때 일차식과 이차식의 나머지로 어떻게 다항식을 구하나요? -
[원정희] 실력편 수학 I (2014) - 최대와 최소
· p198 에 필수 예제 14-4번에 1번문제에서요 note 에 최솟값을 구할때는 ii)의 경우를 다시 나누어서 생각해야 한다고 되어있는데 그게 무슨 의미인가요? -
[원정희] 실력편 수학 I (2014) - 이차함수와 판별식
· 13-21문제에서 여사건으로 문제를 푸는데 여사건을 1이상인 실수로 지정하셨잖아요 문제에서 1보다 작은 실근이라고 해서 1이상인 실수로 여사건을 지정한건가요? 허근은 생각을 안하는건가요? 왜용??? -
[원정희] 실력편 수학 II (2014) - 부등식의 증명
· 이문제에서 t가 x+y+z/3이 아니게 되면 증명이 불가능 하지 않나요?아니면 다른 원리가 있는건가요?왜 갑자기 t를 x+y+z/3으로 놓았는지 이해가 안갑니다. -
[원정희] 실력편 수학 II (2014) - 명제와 조건
· 왜 두 부등식이 and의 의미를 가질때에는 부등식의 덧셈이나 뺄셈을 쓰지 못하는 것인가요? -
[원정희] 실력편 수학 II (2014) - 로그
· 연습문제 15-13번 문제에서요 x=3k 로 놓고 계산을 했잖아요. 그 뒷부분에서 3^3k+1을 빼고 괄호로 묶는 부분에서 이해가 안되는게 왜 하필 3^3k+1 로 묶나요? 3^k로 묶으면 안되나요? 그냥 계산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 그렇게 한건가요? -
[원정희] 실력편 수학 I (2014) - 근과 계수의 관계
· 선생님이 하신 강의는 잘 들었습니다 그런데 아직 찜찜한 부분이 남아잇어서 설명 부탁 드립니다 저는 f(a)-f(2a)=f(2a)-f(3a) 를 해서 나오는 값을 이용해서 a=0 이라는 답이 나왓는데요 아무리 생각해도 a=0이 성립한다고 생각해서요 서로 다른 실근이라는 말도 없어서 물론 a=1/2가 답이긴 하지만 저는 a=0도 답이라고 생각해서 질문햇습니다. -
[원정희] 실력편 수학 I (2014) - 도형의 이동
· 점 (x,y)를 x축 방향으로 a만큼, y축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하면 f:(x,y)->(x+a,y+b)가 됩니다. 그런데 도형의 평행이동에서는 똑같은 방법으로 하는데 f:(x,y)->(x+a,y+b)에서 x+a=x', y+b=y'라 두고 x,y에 관한 식을 한번 더 이끌어 내어 가는 과정을 거칩니다. 그래서 f:(x,y)->(x-a,y-b)가 됩니다. 도형의 평행이동에서는 이 과정을 거치면서 점의 평행이동에서는 왜 하지 않는 건가요? 똑같은 방법으로 변환을 이끌어 냈는데 하나는 +부호, 하나는 -부호라서 왜 그렇게 됐는지 궁금합니다. -
[원정희] 실력편 수학 I (2014) - 이차함수와 판별식
· 책의 답대로라면 두근이 모두 양일때, 합과 곱이 양임을 이용하여 풀이했는데, 두 근이 모두 0보다 클 조건을 사용해도 되는건가요? -
[원정희] 실력편 수학 II (2014) - 수학적 귀납법
· 연습문제 13-17번 f(2^n) 꼴로 만들려고 블럭 개수 줄인는 것을 1회 시행한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