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명제와 조건
· 연습문제 22-11 (2)에서 만약 a 와 b 와 c 가 각각 다 교집합이 공집합이면 (사진처럼) 그렇다면 답은 필요충분조건이 안 되는 것 아닌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명제의 증명
· 유리수를 유리수로 나누거나 곱하거나 유리수에 유리수를 더하거나 빼도 유리수라는 말이 풀이에 있는데 0으로 나누는것은 제외하고 말하는거죠?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명제의 증명
· 유제 23-1-1요, (파일에 밑줄 친 부분 관련 질문입니다) 음의 정수가 아닌지는 어떻게 알아요? 그리고 음의 정수여도 상관없는것 아닌가요? 음수중에서도 2k-1 (k는정수)꼴은 따지자면 홀수 맞잖아용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최대와 최소
· 선생님 필수예제 11-5번에서 x의 값이 0에서 까지만 삼각형이 가능하다고 되어었는데 왜 2가 넘으면 삼각형이 아니라 사각형이 되는건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 질문은 사진으로 첨부하겠습니다 .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 여기서 근이 모두 음의 실근인 경우를 처리할 때, 판별식≥0, 두근의 합>0, 두근의 곱>0 임을 이용해도 되죠? 샘께서는 판별식, 대칭축, 함숫값으로 처리하셨는데 저는 위와 같이 처리 했거든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 질문은 사진으로 첨부하겠습니다. 이차함수에서 한점에서 만나는 것의 의미에 대해 더 궁금한 것이 생겨서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 연습문제 10-2에 대한 질문입니다. 질문은 사진으로 첨부하겠습니다.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 (2018) - 함수의 극한
· 여기서 1이라는 밑변의 길이를 각도가 각각 2a,a이니까 2:1로 분할해서 사인법칙을 적용해도 옳은 풀이인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 질문은 사진으로 첨부하겠습니다.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 (2018) - 정적분의 계산
· 해당 문제 풀이 도중 선생님께서 ∫(e^x)/x dx는 고등과정 내에서 계산이 불가하다고 하셨습니다. 그렇다면 왜 계산이 불가한지 증명해주실 수 있나요? +첨부파일 이미지는 제가 나름대로 해당 문제를 풀이한 과정 중 일부인데요.. 풀이를 듣고나니 제 방식이 아무리 생각해도 잘못된 것 같다고 생각해서 혹시 제가 푼 거에서 어디가 잘못된 건지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답은 답지와 같게 나왔어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합성함수와 역함수
· f(x)=y와 f역함수(y)=x가 동일식이라고 하셨는데요..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f(x)= 3x면 f의 역함수x= 1/3x인데요..이 둘이 강의에 따르면 같은 함수라는 거라는 말씀인 것 같아서요... 어떻게 이해를 해야 하는지요? (아래에 선생님이 쓰신 답변을 다 읽어보았습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해주세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평면좌표
· 두 점 A,B 사이 거리가 5 라고 할때 라는 조건에서 바로 A는 0,0이다. B는 5,0 이다 라는 걸 가정해서 그 답으로 x=4가 나왔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어떻게 다른 A,B사이 거리가 5인 경우에서도 x=4가 성립한다 라는걸 알수 있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집합의 연산법칙
· 공집합은 모든 집합의 부분집합이라고 알고 있는데 이 문제에서는 포함시켜서 계산하면 안되는건가요? 어떨때 공집합을 포함시켜서 계산하는건지 좀 헷갈리네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도형의 이동
· y=f(x)와 y=f(2x) 그래프 사이에는 무슨 관계가 있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나머지정리
· 계수가 정수인 일차식이면 x-1, x+1보다 많지 않아요? 예를 들면 x-9이라던지, x+10 처럼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이차부등식과 연립이차부등식
· (2)번 문제에서 강의에서 선생님이 a가 1보다 그냥 작다 가 아니라 작거나 같다고 하셨는데 왜죠..?ㅠㅠ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 필수 예제 9-2 (2) 1.제가 고정해 놓은 시간대에서 선생님께서 m은 상수니까 허수는 아니다라고 말씀하셨는데요. 그렇다면 일반적으로 상수는 허수를 포함하지 않는 것인가요? 2.일반적으로 숫자를 그냥 상수라고 표현하는 것인가요? 중1 때 상수항을 처음 배울 때 가령, x^2+2x+1에서 +1처럼 수만으로 이루어진 항이 상수항이다 이런식으로 얼렁뚱땅 넘어갔던 기억이 있습니다.(아마 교과서에서도 그랬던 것같습니다.) 그래서 상수라는 개념이 엄밀하게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잘 와닿지가 않았습니다. 따라서 상수라는 개념을 어떤 식으로 받아들여야 할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문제에서 상수라는 정보에는 어떤 숨은 의미를 내포한다든가..., 엄밀하게 어떤 개념인지 등등) 3.그리고 상수와 미지수는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인가요? 예컨대 이 문제에서 m도 우리가 모르는 수니까 미지수라고 표현하면 안되나요? 굳이 미지수와 상수를 구분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이차방정식의 판별식
· 연습문제 8-10 여기 선생님께서 판서하신 부분에서 a,b,c가 정수이므로 엄밀하게 따지자면 k는 유리수 중에서도 정수인 것이죠? 즉, b^2-4ac=k^2 (k는 정수) 라고 작성해도 괜찮은 것이죠?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이차방정식의 판별식
· 이 문제(연습문제 8-6)에서 마지막에 답(조건과 실근)을 구하지 않으신 것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