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나머지정리
· 왜 꼭 x-1이나 x+1을 인수로 가져야 하는지 이해가 안돼요,, 계수가 정수이기만 하면 되니까 (x-1/2) 같은 걸 인수로 가질 수도 있지 않나요? 두 번째 식의 상수항이 2이면 가능한데... 알려주세요ㅠㅠㅠ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유리함수의 그래프
· 제곱 제곱 더했는데 어떻게 값이 음수죠? -
[차현우] 실력편 기하 (2018) - 포물선의 방정식
· 포물선의 준선 위의 한 점에서 포물선에 그은 두개의 접선은 서로 수직임을 증명할 때 포물선을 y^2=4px라고 두고 증명을 하면 이 포물선이 평행이동 된 (y-n)^2=4p(x-m) 꼴일 때는 어떻게 하나요? 처음부터 포물선의 방정식을 y^2=4px으로 두면 평행이동 된 식까지 포함할 수 없으므로 제한적이지 않나요? 넓은 범위에서 평행이동된 포물선의 방정식인 (y-n)^2=4p(x-m) 꼴일 때를 증명해야하는 것 아닌가요? 그러면 y=mx+p/m공식을 쓸 수 없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최대와 최소
· 필수예제 11-8에 관한 질문입니다. 첨부한 사진처럼 풀어도 되는지 질문드립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파일로 첨부하겠습니다.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최대와 최소
· 필수예제 11-6에 관한 질문입니다. 1.필수예제 11-6의 모범답안(150쪽)에서처럼 방정식 (y-1)x^2+(y+1)x+y-1=0의 최고차항의 계수에 대하여 1) y-1≠0인 경우와 2) y-1=0경우로 반드시 나눠서 풀이를 해주어야 하나요? 선생님께서는 이 두가지 경우로 나누어서 풀이해주시지 않은 것 같아서요. 2.이 문제의 모범답안에서 1) y-1≠0의 결과 1/3≤y≤3 (y≠1)라고 써져있는데요. 이 부등식은 결국 '1/3≤y<1이고1<y≤3'이라는 부등식과 같은 의미인 것 인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 (메뉴얼에 맞게 재업)연습문제 10-19에 관한 질문입니다, 질문은 사진으로 첨부하겠습니다.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 (메뉴얼에 맞게 재업)연습문제 10-17 질문입니다. 첨부한 풀이도 가능한지 질문드립니다. 구체적인 질문과 제 풀이과정은 사진으로 첨부하겠습니다.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8) - 삼각함수의 기본 성질
· 19번 문제 판별식으로도 풀 수 있지만 a가 양수이므로 산술기하 평균으로도 가능한가요? 산술기하 평균에 의해 최솟값이 루트2가 되고 이것을 만족하는 쎄타 값이 한가지밖에 없는 것 같은데 이렇게 풀어도 되는지 궁금해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명제와 조건
· 연습문제 22-11 (2)에서 만약 a 와 b 와 c 가 각각 다 교집합이 공집합이면 (사진처럼) 그렇다면 답은 필요충분조건이 안 되는 것 아닌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명제의 증명
· 유리수를 유리수로 나누거나 곱하거나 유리수에 유리수를 더하거나 빼도 유리수라는 말이 풀이에 있는데 0으로 나누는것은 제외하고 말하는거죠?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명제의 증명
· 유제 23-1-1요, (파일에 밑줄 친 부분 관련 질문입니다) 음의 정수가 아닌지는 어떻게 알아요? 그리고 음의 정수여도 상관없는것 아닌가요? 음수중에서도 2k-1 (k는정수)꼴은 따지자면 홀수 맞잖아용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최대와 최소
· 선생님 필수예제 11-5번에서 x의 값이 0에서 까지만 삼각형이 가능하다고 되어었는데 왜 2가 넘으면 삼각형이 아니라 사각형이 되는건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 질문은 사진으로 첨부하겠습니다 .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 여기서 근이 모두 음의 실근인 경우를 처리할 때, 판별식≥0, 두근의 합>0, 두근의 곱>0 임을 이용해도 되죠? 샘께서는 판별식, 대칭축, 함숫값으로 처리하셨는데 저는 위와 같이 처리 했거든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 질문은 사진으로 첨부하겠습니다. 이차함수에서 한점에서 만나는 것의 의미에 대해 더 궁금한 것이 생겨서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 연습문제 10-2에 대한 질문입니다. 질문은 사진으로 첨부하겠습니다.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 (2018) - 함수의 극한
· 여기서 1이라는 밑변의 길이를 각도가 각각 2a,a이니까 2:1로 분할해서 사인법칙을 적용해도 옳은 풀이인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 질문은 사진으로 첨부하겠습니다.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 (2018) - 정적분의 계산
· 해당 문제 풀이 도중 선생님께서 ∫(e^x)/x dx는 고등과정 내에서 계산이 불가하다고 하셨습니다. 그렇다면 왜 계산이 불가한지 증명해주실 수 있나요? +첨부파일 이미지는 제가 나름대로 해당 문제를 풀이한 과정 중 일부인데요.. 풀이를 듣고나니 제 방식이 아무리 생각해도 잘못된 것 같다고 생각해서 혹시 제가 푼 거에서 어디가 잘못된 건지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답은 답지와 같게 나왔어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합성함수와 역함수
· f(x)=y와 f역함수(y)=x가 동일식이라고 하셨는데요..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f(x)= 3x면 f의 역함수x= 1/3x인데요..이 둘이 강의에 따르면 같은 함수라는 거라는 말씀인 것 같아서요... 어떻게 이해를 해야 하는지요? (아래에 선생님이 쓰신 답변을 다 읽어보았습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