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8) - 지수부등식과 로그부등식
· 풀이과정을 보면 이게 엄청 어렵잖아요. 어떻게 이렇게 생각해서 계산할 수 있는거죠? 이거는 진짜 풀이과정을 미리 알지 못하는 이상 나올 수가 없는 풀이인 것 같은데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8) -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 1/2(2의 x제곱 - 2의 -x제곱)에서 정의역 치역 구하실 때 어떻게 뺀다는 건지 정확하게 모르겠습니다. 어떤 느낌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8) - 지수방정식과 로그방정식
· 왜 m이 9x?(강의에서는 네모)가 되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최대와 최소
· 00:47:07에서 왜 x가 0이상 2이하여야 하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8) - 지수방정식과 로그방정식
· 양변에 log를 씌워 지수를 아래로 내리면 (2x-2y)logx = 5logy ....(1) (2x-2y)logy = 5logx ....(2) (단, x>0, y>0) 저는 (1)번식의 양변에 logy를 곱하고 (2)번식의 양변에 logx를 곱해서 (1)-(2)를 했는데 차현우 선생님은 반대로 (1)번식의 양변에 logx를 곱하고 (2)번식의 양변에 logy를 곱해서 옳은답을 구했는데 저처럼 하면 안되는이유가 뭔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8) - 지수방정식과 로그방정식
· 한번 더 보내는데요 .저는 중근을 가지는 거까지는 완벽하게 이해했는데 그 아래 이때 2의 t의 값이 ~이다 부터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8) - 지수방정식과 로그방정식
· 풀이에서 2의 t 값은 ~이다 부터 이해가 잘 안됩니다. 쉽게 한번 더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I (2018) - 함수의 미분
· 풀이과정에서 g(x)=x 또는 g(x)=3-x라는 이 식은 (모든 x에 대하여 g(x)=x) 또는 (모든 x에 대하여 g(x)=3-x)를 뜻하지 않는다라고 나와있으며, 각각의 x에 대하여 g(x)가 x 또는 3-x의 값을 가지면 된다고 나와있는데, 문제 상황이 특수해서 이렇게 해석해야 하나요 -> (만악 그렇다면 왜 그런것입니까?) 아니면 보편적으로 그냥 어떠한 상황에서 g(x)=x 또는 g(x)=3-x라는 식이 나왔을 때 g(x)가 각각의 x에 대하여 x 또는 3-x의 값을 가진다고 해석하면 되나요? -> (만약 그렇다면, 예를 들어 어떠한 문제에서 이러한 식이 나왔을 때 i) f(x)=x인 경우, ii) f(x)=3-x인 경우로 나누어서 푸는 것은 안 되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 연습문제 9-15에서 복소수상등은 쓰면안되는건가요? 그니깐 수학적으로 못쓰는건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직선의 방정식
· k(ax+by+c) + (mx+ny+l) = 0 에서, k가 0이면 (mx+ny+l) = 0을 표현할 수 있는데, (ax+by+c)는 앞에 k가 있고 (mx+ny+l)를 없앨 수 없기 때문에 이 식은 (ax+by+c) = 0을 나타낼 수 없다고 이해했는데, 이렇게 이해하는 게 맞나요? 부족하면 보충설명부탁드립니다.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8) - 지수방정식과 로그방정식
· 필수예제 5-4 에서 3^x + 3^-x 의 그래프를 어떻게 그리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삼차방정식과 사차방정식
· 12-19번 미지수를 알파, 베타, 루트 알파제곱 +배타제곱 으로 놓고 풀어도 되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8) -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 a가 0보다 작은 경우는 생각하지 않는 건가요?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 (2018) - 여러 가지 함수의 도함수
· 유제 6-2의 (4)에서, dx/dt=4(sint)(cost), dy/dt=-6(sint)(cost) 가 나와서 dy/dx=-3/2가 나옵니다. 그런데 계산 과정에서 (sint)(cost)가 분모에 들어가므로 (sint)(cost)≠0이라고 답에 표시해주어야 하는 것 아닌가요? 또한, 주어진 x,y가 x/2+y/3=1, 즉 y=(-3/2)x+3을 만족합니다. 그리고 x,y는 각각 sin과 cos의 제곱이 들어가 0 이상이므로, x,y의 그래프의 양 끝점은 (0, 3)과 (2, 0)이 됩니다. 이 점들은 그렇다면 미분불가능하지 않나요? 그리고 이 양 끝점은 (sint)(cost)=0이 되는 점과 동일한데, (sint)(cost)≠0이라고 표시해주지 않아도 되는 까닭이 이것과 관련이 있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I (2018) - 극대·극소와 미분
· 1.5-7번과 같이 판별식 근과 계수의 관계에 관한 문제가 나왔을 때, 예를 두 근의 합이 0보다 작은지 큰지를 알 수 없다면 쓸 필요가 없지 않나요? 2. 5-7(2)에서 정석에서는 한근이 양수이고 다른 근이 음수 일때 두 근이 합이 0보다 작음을 명확히 알 수없기 때문에 생략된건가요? 3. 그래프를 명확히 그려서 두 근의 과계를 통해 두 근의 합의 관계를 알 수 있다고 하셨는데 이 겨우는 확실하게 그릴 수가 없으므로 '두 근의 합은 알 수 없다' 가 아닌가요? 4. 그리고 만약에 판별식를 통해 a가 0보다 작은 구하는 방식이 적절하다면 명확한 이유를 써주세요. -
[차현우] 실력편 확률과 통계 (2018) - 확률의 정의
· 제가 어떤 곳에서 동전을 던졌을 때 바로 아래에 동전이 떨어질 확률이랑 저쪽 멀리 떨어질 확률이랑 다르니까 그것도 고려해 주어야 되는 거 아닌가요? -
[차현우] 실력편 확률과 통계 (2018) - 조합
· 절대적인 위치가 다르다는 말이 이해가 안갑니다. 2번째 풀이를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I (2018) - 함수의 미분
· 3-13 (2)는 풀이 안해주시나요? -
[차현우] 실력편 확률과 통계 (2018) - 확률의 정의
· 기하적 확률에서 질문이 있어요 예를 들어 직사각형 ABCD가 있는데 점 P가 그 위에 있다고 할 때, 문제를 만족시키는 점 P의 자취가 사각형ABCD의 대각선인 AC라고 해 봅시다. 그렇다면 기하적 확률에 의해 '직선AC의 넓이/사각형ABCD 넓이'인데 직선은 넓이가 없잖아요? 따라서 확률이 0인가요? 제가 생각한 게 맞는 건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집합
· 왜 에이 제곱이 원소가 되나요? 이해가 안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