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8) -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 4-13에서 말하는 all이 문제 조건에서 다 된다는건가요? 정확히 뭔뜻인가요?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I (2014) - 함수의 극한
· 값이 나오는걸 보니까 그냥 x-->무한대로 푼다음 그답에 마이너스 기호 를 붙혀도 답이 항상 되는건가요?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 (2018) - 정적분의 계산
· 강의 중 문제에서 In을 부분적분을 통해 구하면서 , du/dx = sinx (u 프라임) , v=(sinx)의 n-1제곱 으로 바로 설정하셨는데 이런 사고에 도달한 과정이 궁금합니다. 최종적으로 '부분적분을 하기 위해서'라는 점은 이해가 됩니다. 그러나, sinx를 n번 제곱함을 다른 방법으로 표현할 수도 있는데 (가령 (sinx)의 제곱 X (sinx)의 n-2제곱) Q1) 왜 하필 du/dx = sinx (u 프라임) , v=(sinx)의 n-1제곱으로 정하는 것인지 (du/dx = sinx (u 프라임) , v=(sinx)의 n-1제곱라는 점을 안 상태에서 이렇게 해야 I2를 식에 등장시킬 수 있음은 파악했습니다. 그런데 문제를 처음 접한 상태에서 풀어나간다고 했을 때 첫 시작을 어떻게 잡아야 하는지가 어렵습니다.) 또, 부분적분에서 '로그함수, 다항함수, 삼각함수, 지수함수 순서로 v라고 설정한다.'(실력정석 p 255 하단)라고 배웠는데 Q2) 그렇다면 위 문제 같은 경우에서 지수를 둘로 나누었을 때(문제에서는 n과 1) 큰 지수를 가진 부분을 항상 v라고 하며, 상대적으로 작은 지수를 가진 부분을 du/dx라고 하는 것인지가 궁금합니다.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무리함수의 그래프
· y=x 그래프하고 y=(루트 2x-3)+3 으로 그래프 그려서 풀면 방정식 풀어서 나오는 2,6 중에 왜 6이 되는지 모르겠어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I (2018) - 최대·최소와 미분
· y와 z를 근으로 가지는 t에 대한 방정식을 안 세우고 y,z 모두 양수이므로 산술기하평균을 써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합성함수와 역함수
· 이런 것도 성립하지 않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 근의 분리에서 판별식 옆에 꼭짓점의 y좌표의 부호를 이용하라고 나와 있는데, 이게 무슨 뜻인가요? -
[차현우] 실력편 확률과 통계 (2018) - 확률의 곱셈정리
· 문제에 대한 식을 5C3×(1/2)^3×1/3×1/6 으로 세우면 안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 (2018) - 여러 가지 정적분에 관한 문제
· 제가 이 문제를 풀었는데 1시간 정도 생각해서 풀이를 완성했습니다. 그런데 풀이를 완성하고 보니 풀이도 엄청 길고 중간에 논리적 오류가 없었는지 궁금하네요. pdf 파일로 풀이를 첨부하겠습니다. 풀이 검토 부탁드리고, 혹시 더 좋은 풀이 방법이 있다면 코멘트 달아주세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I (2018) - 함수의 연속
· 유제 2-1(2) 의 답지 내용중 일부가 의문입니다 풀이 유제 2-1의 (1)번과 (2)번은 가우스 함수의 연속성을 따지는 서로 같은 문제인데 왜 (2)번의 풀이에서는 (1)번과 다르게 한 점에서의 함수 값까지 따지는 건가요.( x=1일때를 따짐) 그냥 1번처럼 모든 조건을 다 부등호로 처리해버리면 안되나요. 왜 굳이 2번만 한점에서의 값을 따지는 건가요.. 물론 그렇게 하나 안하나 값은 결과는 같겠지만 굳이 저렇게 다른 이유가 있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이차방정식의 판별식
· 세변의 길이를 a,b,c라고 할 때 가장 긴변은 한개이고 이것이 나머지 두변의 길이의 합보다 작은 것인데 왜 a+b>c, b+c>a, c+a>b 모두 만족하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다항함수의 그래프
· y = (2 - m)x + 2m -1 을 m 에 대해서 정리한 이유가 뭔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 유제10-2-(1) 설명해주세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8) - 등차수열
· 두 번쨰 방법에서, 예를 들면 15 대신 15의 배수인 30, 45, 60 등을 이용해도 그 수는 3으로 나눈 나머지가 2, 5로 나눈 나머지가 3이 되는 것처럼 15가 아닌 15의 약수 중 하나가 수열의 공차가 될 가능성이 있지 않나요? -
[차현우] 실력편 기하와 벡터 (2014) - 벡터의 성분
· 이 문제에 대한 풀이를 보니까, ㅣt+1/tㅣ>또는=2 라고 적혀 있네요. 차현우 선생님께서는 t는 실수이므로 양수도 음수도 될 수 있다고 하셨어요. 산술기하평균을 하려면 양수인 경우에만 해야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이해가 잘 안됩니다. 절대값 표시는 또 왜 했을까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I (2018) - 함수의 연속
· 유제2-6의 답지가 이해되지 않습니다. 사진의 괄호친부분이 이해되지 않아요 갑자기 왜 저런 식이 나오는 건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다항함수의 그래프
· x가 3일 때 어떤 점을 지나는지 식 안쓰고 어떻게 바로 구하는지 모르겠어요.. -2<=x<=10 일때 원래 그래프가 y=2이어서 그런건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 선생님, 이차함수의 x=n꼴의 축 구하는 공식좀 정확하게 알려주세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 선생님 제가 필수 예제랑 유제는 잘 풀겠는데, 연습문제는 도무지 풀리지가 않네요.. 어떻게 공부하는게 좋을까요?(10단원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단원이 그러네요...ㅜㅜ) -
[차현우] 실력편 기하 (2018) - 벡터의 뜻과 연산
· 안녕하세요 선생님~ 수업듣고있는 고등학교 2학년 학생입니다. 4-12번에서 점 P의 자취가 직선이 되는 이유가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그 이유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실수 있으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