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현우] 실력편 확률과 통계 (2018) - 경우의 수
· 이 문제를 중복조합을 활용해서 풀려면 어떻게 하면 되나요?? -
[차현우] 실력편 확률과 통계 (2018) - 경우의 수
· 예제 1-3을 풀 때 1) B=D, C=E 2) B=D, C!=E 3) B!=D, C=E 4) B!=D, C!=E 이렇게 4가지로 나누어서 풀면 어떤 오류가 생기나요? 660이라는 더 큰 답이 나왔어요.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 (2018) -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 tan2x=cotx에서 x값이 6개인데 4개는 구했고 나머지 ㅠ/2, 3ㅠ/2는 왜 만족하는지 모르겠어요... tanx그래프는 홀수ㅠ/2 에서 값이 무한대이니까 cotx에 위 두 값을 넣으면 안되는 거 아닌가요?? 분모가 무한대로 가서 0으로 생각하는건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이차부등식과 연립이차부등식
· 필수 예제 15-7 번의 모범 답안에는 a >= 0 일때 0 < a <= 1 이라고 나와있는데, 그냥 a > 0 일때만 0 < a <= 1 이여야 하는거 아닌가요? (왜냐하면 a = 0 일땐 해가 없기 때문에) 아님 책의 오류인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이차부등식과 연립이차부등식
· 강의를 계속듣다가 든 생각인데요, 계속 실수의 범위를 기준으로 말씀하시는데, 그러면 이번단원은 무조건 실수범위 안에서만 하는 단원인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도형의 이동
· 왜 중심이 (4,3) 이에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원의 방정식
· 왜 4루트2-1이에요? -
[차현우] 실력편 기하 (2018) - 직선과 원의 벡터방정식
· 선생님 안녕하세요? 14번에 관해 질문이 있습니다. 접점을 (a,b)로 둔 다음 (a,b-3) 과 접선이 수직이라는 점을 이용해 a(x-a)+(b-3)(y-b)=0으로 직선의 방정식을 세웠습니다. 그리고 세운 방정을 x-a/3-b=y-b/a로 바꾸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직선과 평행한 벡터가 (1,2)이기 때문에 3-b=1 그리고 a=2로 풀었습니다. 틀린 이유를 잘 모르겠는데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I (2018) - 부정적분
· 미분을 할 때 함수가 연속이라는 조건이 있다는 것은 알겠습니다. 그런데 적분할 때는 왜 연속인가요? -
[차현우] 실력편 확률과 통계 (2018) - 통계적 추정Ⅰ(모평균의 추정)
· 선생님 연습문제 10-1 에서 (10.30)인 경우와 (30.10)인 경우가 왜 같은 표본으로 생각하지 않는것인지 궁금해요ㅠㅠ!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 (2018) - 수열의 극한
· 1-10문제에서 틀린 후에 다시 풀어보니까 계산 방식이랑 답이 어떻게 나오는지는 다 알겠는데 저는 그냥 (2의n승 + 3의n승 + 5의n승)의 1/n승 이길래 n이 무한대로갈때 1/n 은 0으로가니까 무조건 1인 줄 알았는데 왜 이방식은 안되는거죠??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원의 방정식
· 첨부된 이미지 같은 경우가 원 (x-a)^2 + y^2 = r^2이 원 x^2 + y^2 = 4에 외접하는 경우이기도 하지 않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8) - 삼각함수의 기본 성질
· 선생님 안녕하세요 학습에 관해 질문드리려고 합니다 그 선생님이 개념설명후 예제문제를 풀어주시는것까지 보고나서 제가 다시 개념보고 예제푼다음 밑에 유제풀고 연습문제를 푸는 방식으로 학습해도 괜찮을까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I (2018) - 방정식·부등식과 미분
· 연습문제 7-15같은 문제는 문제를 처음 봤을때 어떻게 접근해야하나요?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 (2018) - 치환적분과 부분적분
· 과정이 뭔가 좀 이상합니다. 적분상수 때문인 듯 한데, 어떻게 바꿔야 맞는 걸까요?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 (2018) - 치환적분과 부분적분
· 좀 어려운데요. 생각하기도. 이렇게 풀면 어떨까요? - 파일 첨부 -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 (2018) - 치환적분과 부분적분
· 필수 예제 14-7번에 보면 삼각치환에 대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여기에서 x=asinθ 로 치환하고, 범위를 -½ π ≤θ≤½ π 로 잡습니다. 밑에도 x=atanθ로 치환하게 되고, 범위를 -½ π <θ<½ π로 잡습니다. 그런데 여기에서 범위에 대한 의문과 등호에 대한 의문이 생겼습니다. 우선 위의 sinθ의 범위에서는 θ에 ½ π를 대입하거나 하게 되면 적분에서 값이 1/0이 되어 무한대가 되고, 그러면 가능한 건지 의문입니다. 실수 전체의 범위를 잡기 위해서 그렇게 했다고 치더라도, 등호가 들어가지 않아도 되는 건가요? 다른 문제에서는 상관없지만, 이 문제에서는 등호가 빠져도 상관없을까요? 또 sinθ나 tanθ의 범위를 지정할 때도 값이 구간 내에 하나만 나오게 하기 위해서 범위를 이렇게 잡는 건가요? tanθ에 등호가 없는 이유도 무한대 때문인가요? 답변 부탁드려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I (2018) - 최대·최소와 미분
· 연습문제 6-12 문제에서 p(t,t^3)로 잡고 A(1,1), B(-2,-8) 이랑 사선공식(신발끈공식) 써서 나온 식에서 최댓값 구해도 되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I (2018) - 함수의 미분
· 강의 잘 들었습니다! 연습문제에 미분 가능성을 조사하라는 말이 있어서 질문합니다 미분 가능하다는 걸 도함수가 연속이다로 해석해도 같은 의미인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일차부등식과 연립일차부등식
· 필수예제 14 -7 에서 x=y인 경우는 x= 2x^+y^ , x=x+y-1 과 y= 2x^ + y^, y= x+y-1 두 경우도 포함이 되는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