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집합
· 일반적으로 벤 다이어그램을 그릴때 집합이 2개이면 두개를 겹쳐서 그리고 집합이 3개이면 세개를 이번 강의의 13분 9초 처럼 겹치게 해서 그리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집합
· 여기서 원소 a와 b가 속하지 않는 부분집합 개수랑 꼬마 3번에서 a,b가 모두 들어있지 않은 부분집합의 개수는 같지 않은 가요? 두 집합 다 원소 a와 b는 포함되지 않기때문에 아닌 가요? 이 문제의 꼬마 2번에 보면 원소 c가 속하지 않는다고 하니 아예 c를 뺘고 생각한 것 처럼 제가 질문한 두 가지 경우의 부분 집합도 원소a,b를 빼고 생각해도 되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집합
· (다) 조건에서 집합 M의 원소인 x와 y를 곱한 xy도 집합 M의 원소라고 되어있습니다. 풀이에서 원소 a,b,c에 모두 a를 곱하셨는데 그렇게 해서 a 제곱이 되어도 되나요? 조건에 제시된 x와 y를 같다고 봐도 되나요? 그러면 (가)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거 아닌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8) - 삼각함수의 기본 성질
· 선생님 이거 답이 (-1)n/2 인데요...... 저는 n이 2k일때 1/2, n이 2k+1일때 -1/2라고 썼는데 맞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8) - 지수
· 유재 1-4 풀이 중에 12제곱근 a 분에 12제곱근 a제곱이 왜 12제곱근 a가 되는지 모르겠어요ㅠㅠ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8) - 삼각형과 삼각함수
· 이 문제에서 C가 150~180 범위가 안되는건 c가 a보다 짧다는거 말고 다른이유로 설명가능한가요?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II (2014) - 지수부등식과 로그부등식
· 차현우 샘께서 실선과 점선이 만나는 곳은 o(blank)로 표시하면 된다고 하셨는데요. 책에서 (1,1), (1,10)에는 왜 o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건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다항함수의 그래프
· f(1)=m+1 이 값이 0보다 크거나 같을수도 있다고 하는데 왜 같아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그때의 그래프의 개형이 어떻게 나오는지 아무리 그려도 모르겠네요. 그래프 개형도 알려주세요 ㅠㅠ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다항함수의 그래프
· ㅠㅠ 좀 자세히 풀이를 부탁드립니다.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8) - 수학적 귀납법
· 항상 k를 대입하는 것을 대수적으로 하시는데 기하적으로 풀어도 되나요? 지오지브라 같은걸로 설명해주셨으면 합니다 실력정석 15-24 가 y축 왼쪽이 아닌부분에서 왜 항상 좌변이 큰지에 관해서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8) - 등차수열
· 이거 좌표평면 점의 개수를 시그마로 구할수도있을거같은데 식이 헷갈리네요 깔끔하게 풀이가능한가요?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 (2018) - 극대·극소와 미분
· 연습문제9-20 차현우샘 풀이과정 오류있습니다. a 가 양수이든 음수이든 극대값 x 좌표는 -2a 아닌가요? 답지에도 그렇게 되어있고.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 (2018) - 수열의 극한
· 변수인데 상수취급한다는것이 말이 되나요 "상수취급한다" 라는 말이 헷갈려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8) -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 필수예제 4-9에 대해서 의문점이 있습니다. 3문제 모두 산술기하평균부등식을 써서 최솟/최댓값을 구했는데, 그 값들이 최소/최대라는 것을 어떻게 확신할 수 있나요? 소문제 (1)을 예시로 들면 함수 F(X)보다 작은 값을 산술기하평균부등식으로 찾은 것이지 그 값이 최소라고 할 수 없는 것 같습니다. 즉, 다른 방법으로 최솟/최댓값을 구하였을 때 산술기하평균부등식을 통해서 구한 최솟/최댓값과 달라질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의문점에 대해서 답변을 해주세요. 감사합니다.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명제의 증명
· 원래 일반적인 산술/기하 평균은 a₁+a₂≥2√(a₁+a₂)인데, 정석에서는 이것을 조금 변형하여 a₁+a₂+a₃≥3 ³√(a₁+a₂+a₃) 의 식을 유도해내고 있습니다. 그래서 궁금해진 점이 이러한 절대부등식을 일반화시켜서 n개의 문자 a₁+a₂+a₃…≥n ⁿ√ (a₁+a₂+a₃…)의 식을 증명할 수 있을까요? 만약 증명 방법이 어렵다면 참고 자료나 간략한 방법이라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함수
· 연습24-1문제에서 f(77)=7 이라고 하셨는데, 77의 소인수는 1,7,11,77 이렇게 네가지이고 그 중 가장 큰 소인수는 77 아닌가요?? ㅠㅠ 왜 77/77=1 이 아니고 77/11=7 이라고 결론이 나는 건지 이해가 안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명제의 증명
· 기호에 오류가 있었던 것 같아 재질문합니다. 3) 2x+y (>=) 2√(2xy) -산술기하 (8/x)+(1/y) (>=) 2√(8/xy) -산술기하 양변을 곱하면 (2x+y)(8/x+1/y) (>=) 4√(16) 그래서 (2x+y)(8/x+1/y) (>=) 16 그런데 답이 25라고 나와있네요? 혹시 틀린 점 있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명제의 증명
· 유제 23-12 3) 2x+y ? 2√(2xy) (8/x)+(1/y) ? 2√(8/xy) 양변을 곱하면 (2x+y)(8/x+1/y) ? 4√(16)=16 그런데 답이 25라고 나와있네요? 혹시 틀린 점 있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집합의 연산법칙
· 선생님. 연습문제 집합 (21-1)의 (5)에서 답을 답지에서의 (A∩B)∪C처럼 괄호 안 하고 그냥 A∩B∪C라 써도 되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집합
· 선생님. 집합 연습문제 20-5에서 예를 들어 1) (A-C) ^ D 2) (B-A) ^ (C-D) 3) C ^ (D-B) (^는 교집합)과 같은 표현도 가능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