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8) - 지수
· y=x의 t 제곱아닌가요? -
[차현우] 실력편 확률과 통계 (2018) - 순열
· 유제 2-16(2)에서 경우를 셀 때 A-E-B A-H-B의 경우를 셀땐 점선을 지날 수 있는 경우 1가지를 빼야 하는 거 아닌가요?? (1)번에서눈 뺐는데 왜 안빼나용?? -
[차현우] 실력편 확률과 통계 (2018) - 순열
· 유제 2-15 (2)에서 PQ PR PS PT의 길이 없어서 못가는데 왜 P를 안지나 가는 것과 같은 경우의 수를 갖나요!!설명좀 부탁드립니다ㅜㅜㅜ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8) - 지수
· 선생님 1-8번이요 3에 m분의 n제곱은 m루트3에 n제곱이잖아요....그런데 m이 1이 되어야 유리수가 되므로 1이 되야하는데 m은 n보다 크므로 절대 1로 약분될수없다고 풀어도 되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인수분해
· 그런데, 1번째와 2번째에 불이 켜진는 걸 어떻게 설명할 수 있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다항함수의 그래프
· 이때 왜 (3,2)를 지나나요?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II (2014) - 여러 가지 정적분 문제
· 우변 미분할 때 -xf(x)로 나와야 하지 않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복소수
· 필수예제 6-2-(3)을 풀때 괄호안의 복소수를 다 계산해서 나타내는거죠?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8) -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 x자리에 2a-x를 대입하면 식이 똑같아지는 것의 증명이 궁금합니다.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인수분해
· 선생님이 말한 방식으로 풀었는데, 도저히어떻게 푸는지 모르겠어서 이거 제대로{정확히}풀어 주실수 있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다항함수의 그래프
· f(-1)이 0이상이니까 f(1)이 0보다 큰거 아닌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인수분해
· 선생님 죄송한데, 혹시 이거 제대로{정확히}풀어 주실수 있나요?이해가 잘 안되서..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나머지정리
· 연습문제 4-8에서요!! 어떤 것들은 조립제법을 두번 해주시고 어떤 것들은 한번만 해주시는데 그 둘의 기준이 있나요? 조립제법한 몫이 3차식이면 한번더 인수분해를 하시는것 같던데 무슨 이유인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순열과 조합
· 선생님 나머지 4칸중에서 2가 들어갈 수 있는 칸은 4가지, 나머지는 5P3이므로 4x5P3해서 240으로 플면 안되나용? ㅍ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I (2018) - 함수의 연속
· 1. '함수 f(x)가 구간 [a,b]에서 연속이고 구간 (a,b)에서 미분 가능하다' 라는 말과 '함수 f(x)가 구간 [a,b]에서 미분 가능하다' 의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2. 함수 y=∞ 는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나요? 나타낼 수 있다면 어떻게 그리는지, 그리고 나타낼 수 없다면 이유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삼차방정식과 사차방정식
· http://cafefiles.naver.net/data34/2008/8/6/1/4c2f7_a4a7a4a7a4a72-topplus11_rlaagusehd.jpg에있는 근의 공식은 무엇미죠? -
[차현우] 실력편 확률과 통계 (2014) - 통계적 추정
· 개념이 부족해서 인지 확률을 계산할때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강의에서 평균이 20이 되는 가짓수가 (10,30) , (20,20) , (30,10)이라고 하셨는데 제가 혼자서 문제를 풀었을 때 (10,30) (30,10)이 같은것으로 생각해서 틀렸습니다. 통계 개념보다는 확률 개념인것 같은데, 복원추출이 공을 예로 들자면 뽑고, 다시 넣고 뽑고 대충 이런 건데 순서를 왜 고려했는지 이해가 안됩니다. 저만 헷갈린건가요.. 나름 확률에 자신있다고 생각했는데 이런 실수가 나오니 자괴감이 드네요.. ㅠㅠ -
[차현우] 실력편 확률과 통계 (2018) - 통계적 추정Ⅰ(모평균의 추정)
· n값을 증가시키면 신뢰구간이 줄어드는것은 알겠는데, 신뢰도가 높아지는것은 왜그런 것인가요 -
[차현우] 실력편 확률과 통계 (2018) - 통계적 추정Ⅰ(모평균의 추정)
· 표본집단의 크기n은 상수이여야 하나요?변하면 어떤 문제점이 있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순열과 조합
· 선생님 여기서 누가 대표 A,B가될수있는 지도 알아봐야하지 않나요? 그래서 A는 9가지, B는 5가지 -> 9x5x12C3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