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최대와 최소
· 왜 그 그래프가 y={x, x의 제곱-4x+4, -2x+12}가 되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I (2018) -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
· 연습문제 11-5번에 보면 y에대한함수를 미분시키면 f(x)가나와서 답이 ㄴ,ㄷ이나오는데 오히려 y그래로의 함수를 적분에 의미에서 생각해보면 ㄱ은 0에서1부터적분하면 +니까 맞고 ㄴ은0에서2까지적분하니까+니까답이 아니고 ㄷ은 0에서3까지 적분하면 0이상이고 ㄹ은 0이하니까 맞는데 적분에의미로 이렇게 풀게되면 답은 ㄱ,,ㄹ 이나오는데 논리적인 오류를 못찾겠습니다.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무리함수의 그래프
· 여기서 y=x^2 가 있잖아요...그러면 x>=0이고 y>=0인것은 알겠는데 x<=0하고 y>=0인것도 되지요?그래프가 반대로 그려져도 일대일대응이 되어서....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I (2018) - 함수의 미분
· 실력 수2 3단원 연습문제 13번에 (1)번만 풀이하고 (2)번을 안 풀고 넘어가신거 같은데 아닌가요ㅜㅜ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8) - 삼각함수의 그래프
· 연습문제 9-5번에서 갑자기 든 궁금증입니다. 9-5 (1) 에서 sin(-x+파이/2)-2 = cosx-2 로 각변환을 이용하는 것은 이해가 됩니다. 하지만 x가 만약 예각이 아니고 둔각이라면 이런 각변환을 통해 함수를 변형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 아닌가요? 답변 감사하겠습니다.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I (2018) -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
· 포스트잇에 적어 놓은 내용이 맞는 건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명제의 증명
· a의 제곱 아닌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 왜갑자기 이렇게 푸는지 모르겠어요. 범이도 왜 이렇게 나뉜지도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I (2018) - 부정적분
· 9-18번 연습문제에 보면 f(x)가연속이라 되있고 뒤에있는 절댓값x가 1아니라고 했는데 이조건은 왜 있는거에요? -
[차현우] 실력편 확률과 통계 (2018) - 확률의 정의
· 확률 구할 때, 경우의 수를 세는 방법이 자꾸 헷갈립니다.. 같은 공4개 중 1개를 뽑는 경우의 수는 1개 아닌가요? 그런데 확률에서는 4개라고 해야 하는데, 이 부분이 헷갈립니다. 제가 무슨 개념을 잘못 알고 있는 것일까요? -
[차현우] 실력편 확률과 통계 (2018) - 순열
· 1)번에서, 병이 움직이는 경우의 수를 곱해서 답을 구해야 하는 것 아닌가요?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II (2014) - 극대 · 극소와 미분
· y=2x^2 - x^1/2 에서 x가 무한대로 발산할때 y역시 무한대로 발산한다는 근거를 '2차 형태가 루트보다 크기 때문에 무한대로 발산한다'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무한대 마이너스 무한대는 무한대라는 값 자체가 정의되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그 값을 알 수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선생님께서 왜 이렇게 설명하셨는지 궁금합니다.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I (2014) - 함수의 미분
· 해설지 보면 y=ㅣx l그래프를 (3/2,3/2)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도 연속함수 조건을 만족한다고 나와있는데 밑에 부분 점선으로 된 부분도 될 수 있지 않나요? 초록색 그래프를 x축 대칭한 그래프 요.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II (2014) - 극대 · 극소와 미분
· 15-25번 문제에서 f'(x)>=3이라서 f'(x)의 최솟값이 3이라고 하셨는데 f'(x)의 꼭짓점의 y좌표가 3 이상인 경우는 모두 만족하는거 아닌가요?? 즉 f'(x)>=3이라는 부등식 하나로 최솟값이 3이라고 하기는 부족하지 않나,,??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I (2014) - 함수의 미분
· 미분계수를 공부하다가 기울기가 왜 그렇게 생기는지 까지 도달했습니다. 그러고보니 기울기를 그냥 y증분/x증분이라고 외웠지 왜 기울기가 그 값인지는 안배웠더군요. 그래서 다시 찾아보니까 기울기는 수평면에 대해 경사면이 기울어진 정도를 표시하기 위함이고 이걸 각으로 표현하면 계산이 불가하므로 '그냥'!!!!! 그렇게 정했고 그러면 경사면의 각도가 큰쪽이 더 큰 값이 나오는 등, 합리적인 값이 나온다고 설명이 된 곳이 많더군요.. 그러나 저는 수학자들이 이렇게 멍청한 이유를 가지고 기울기를 정의했다고 믿기 어렵습니다. 지금까지 제가 봤던 수학은 정말 그 어떤식으로라도 꼬투리를 잡거나 반박하지 못하는 매우 엄밀한 학문이었거든요. 근데 용어 이름붙이는 것도 아니고 왜 기울기가 이럼? 그냥 그렇게 정함. 너무 힘빠지는 대답이고 비논리적인 대답인것 같아서요;. 귀찮으시겠지만 기울기가 왜 생겼는지도 궁금합니다. -
[차현우] 실력편 확률과 통계 (2014) - 확률의 덧셈정리
· 연습문제7-4-(2) b끼리 이웃 안하고 i끼리 이웃 안하면 되니까 8C2*8C2*7!/(11!/2!2!) 하면 될 것같은데 왜 안돼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 그냥 저 루트를 상수처럼 보고 풀면 안되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 왜 a네제곱+b의 4제곱이 -1인지 모르겠어요.a랑b의 6제곱도 마찬가지로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I (2018) - 함수의 극한
· 선생님께서 상수/무한대꼴은 무조건0으로 간다고 하셨는데 분자가 상수2보다작은쪽에서 2로갈때 1.9에서1.999999로 가고 분모는 커지니까 100에서 100.00001로 가면분자는 2보다작은쪽에서 2로가는거고 분모는 무한대로 가는건데 왜 1.9/100의 값이 0.019이고 1.999999/100.00001의값이 0.01999999로써 더 커졌죠?더 작아져야 하는거 아닌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원의 방정식
· 아니 m이 붙은 부분이 표현이 안되는거 아닌가요? m이 안붙은 부분은 m이 0이면 표현 가능 하잖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