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일차ㆍ이차방정식
· 이때 1번에서 x는 1이 아닌데 2번에서는 맞으니까 범위를 써줘야 하는 거 아닌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명제의 증명
· 이문제 산술기하로는 못푸나요? 없다면 됬고요 있으면 답변해주세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복소수
· (a-b)의 제곱=(a+b)의 제곱-4ab 쓰면 안되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일차부등식과 연립일차부등식
· 14단원 유제 14-11번을 어떻게 시작해서 풀어나가야 하는지를 모르겠어요 답지를 봐도 이해가 안가더라구요 ㅠㅠ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일차ㆍ이차방정식
· 갑자기 왜 이렇게 푸는지 모르겠어요 -
[차현우] 실력편 기하와 벡터 (2014) - 벡터의 뜻과 연산
· 9-3에서 a,e,g가 한직선 위에 있을 조건에 해당하는것 아닌가요? 평행은 아닌것 같아서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순열과 조합
· 연습문제 30-10에서 인수분해를 거치면 n=1. m=12라는 답도 나오는데 이 답은 되지 않는 이유를 잘 모르곘습니다. 답변 감사하겠습니다. -
[차현우] 실력편 기하와 벡터 (2014) - 벡터의 뜻과 연산
· 1. 필수 예제 9-12의 풀이 과정에서 aq의 길이를 1로 놓고 계산하는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aq가 1이라고 어떻게 가정하게 되었는자 궁금합니다. 2. 그리고 필수예제와 비슷한 유형의 문제들은 m:m-1의 공식을 대입해서 풀면되는것인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실수
· 왜 무리수가2개면 못푸나요??정석78쪽 3번에는 가능한데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실수
· 왜 답이 15n+3 이죠??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실수
· a가 0이하가 될수도 있지 않나요?a는 무조건 0이상 인가요??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I (2014) - 수열의 극한
· 사진에 있는 내용을 설명해주세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다항함수의 그래프
· 포물선모양의 그래프는 이차함수 밖에없는 건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항등식과 미정계수법
· 왜 여기서b자리에4+2a+b를 넣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항등식과 미정계수법
· 분필으로 드르륵 어떻게 하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I (2018) - 함수의 연속
· f(x)가 불연속이고 f(x)g(x)가 연속인 경우 x=a에서 f(x)g(x)의 함숫값과 극한 값이 같으면 연속이므로 f(a)g(a)=limf(x)g(x)를 풀면 함숫값 = (a^2+2a)(3a+6) 우극한 = (a^2+2a)(3a+6) 좌극한 = (4-a)(3a+6) 이 되서 식을 정리하면 a=-2, 9/4가 나오는데 9/4는 왜 답이 안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다항함수의 그래프
· 연습문제 26-3번에 y=f(x)의 정의역이 {x| -2≤x≤3 }입니다. 이렇게 그래프의 정의역이 주어져 있는 경우 이런 문제와 같이 f(x)를 변형한 형태의 함수에서는 그 정의역을 어떻게 쉽게 알아낼 수 있나요? 제가 이해한 바로는 f(x)의 정의역이 {x| a<x<b} 라고 한다면 f(x)를 변형한 형태의 함수를 (f○g)(x), 즉 f(g(x))라고 볼 수 있고 a<g(x)<b를 만족하는 x의 값이 f(x)를 변형한 새로운 함수, 즉 (f○g)(x)의 정의역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은데 이렇게 생각해도 무방한가요? 처음에 이 문제에서 변형된 함수의 답의 정의역이 원래 함수와는 모두 달라 f(x)의 변형된 형태의 함수의 정의역을 어떻게 알아낼지 고민하는 과정에서 조금의 생각을 해 본 결과 제가 낸 결론인데, 원래 이렇게 푸는 건지 궁금합니다. 자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직선의 방정식
· 선생님! 17-14번에 관해서 질문을 답해주신것을 읽어 보았는데 이해가 잘 되었습니다.! 하지만 1가지 제가 오류가 있는것 같은데요. 저는 y= (편의상 ' / '를 루트로 할게요!) /3 x +3 이런 직선이 있어요. 그러면 이것을 x에 관해서 풀면 y식에 루트가 씌워지는 거잖아요. 근데 이것도 직선이긴 직선이잖아요 그러니까 풀때 x에 관해서 근의 공식을 하고 y에 루트가 있던 없던 상관없는것 아닌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원의 방정식
· 선생님! 필수예제 18-3번에서 그 접선의 공식이용하는것중에 기울기가 나와잇을때 쓰는 공식있잖아요! 그 y=mx +- r루트~~~ 그 공식을 적용했는데 답이 4개가 나오더라고요 알고보니 플마(플러스마이스) 가 저는 2개가 다 된다고 생각했는데 둘중에 1개만 되는거여서 그것을 각각 플러스일때 마이너스일떄 각각 해본다음에 접선을 구하더라고요. 저는 2개 다 사용할 수 있따고 생각했는데 그 공식의 의미가 둘중에 1개만 된다는 의미인게 저는 이해가 가지 않아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I (2018) - 극대·극소와 미분
· 필수 예제 5-1 (2)에서 구간 [0,1]에서감소하고, 구간[3,4]에서 증가한다고 나와있는데 왜 f`(0)이랑 f`(3)의 값만 갖고 범위를 따지는 건가요? f`(1)과 f`(4)도 함꼐 따져야 하는 거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