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8) - 수학적 귀납법
· an+2=an+an+1을 만족하는 수열 중에 a1=a2=1 인 수열을 피보나치 수열이라고 하고(검색해보니) an+2=an+an+1 을 만족하는 수열은 "피보나치 수열과 점화 관계가 같은 수열" 이라고 말해야 하는것 아닌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8) - 수학적 귀납법
· 명제 p(n) 에 대해서 모든 정수 n에 관해 k는 정수 1.n=0 2.n=k --------->n=k+1 3.n=k--------->n=k-1 을 보이면 정수에 관한 수학적 귀납법도 되지 않나요?? -
[차현우] 실력편 기하와 벡터 (2014) - 공간도형
· 뜬금없지만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강의에서나 해설편에서나 AB와 AC의 크기가 같다는 전제조건으로 문제를 풀었는데요. 문제에서 그냥 교선과 45도의 각을 이루는 직선 AB,AC라 하였지 만약에 길이가 다르다면 답도 달라지는 것 아닙니까? 아니면 길이가 다르더라도 성립하는 문제인가요? 갑자기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8) - 등차수열
· 수열을 표시할때 왜 집합기호(중괄호)를 사용하여 표시하나요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I (2014) - 여러 가지 정적분 문제
· 제가 정석 문제를 풀다가 {f(0)}^2=4 여서 각 식을 미분을 했어요 그래서 2곱하기 f(0)곱하기 f'(0) = 0 인데 문제 조건에서 f(0)>0이라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아무생각없이 f'(0)=0이라고 풀었는데 아니더라고요 다시 보니까 각변이 상수항이여서 미분하니까 0= 0이 되야되는게 당연한거라고 잘못풀었다고 결론을 냈는데 생각해보니 위에서 제가 푼 방법이 안되는 이유가 있나요?? 어디서 부터 잘못된건지 모르겠어요ㅠㅠ..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8) - 삼각형과 삼각함수
· 선생님, 안녕하세요. 연습문제 11-2 첫번째 설명해 주신대로 풀면 a^2-a+1-b^2=0 이 나오는데요, a/sinθ = b/(√3/2) 라는 식을 이용해서 풀어야 한다고 말씀해주셨는데 어떻게 하는지 아무리 생각해봐도 모르겠습니다. b=a/sinθ×(√3/2)로 고쳐서 대입하면 sinθ^2=3/4×(a^2/a^2-a+1) 이 나오는데 이렇게 푸는 건 아닌 거 같고... 어떻게 풀어야 하는지 설명 부탁드릴게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이차부등식과 연립이차부등식
· a + a의 제곱 + k는 0이상이고 -a + a의 제곱 + k는 0이상이라고 하셨는데 만약 두 식의 값이 모두 0이라면 직선이기 때문에 -1<x<1에서 x는 모두 0이 되는 것이 아닌가요? 이 부분은 고려를 안하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삼차방정식과 사차방정식
· 이거 알파 곱 알파 세제곱이아니라 알파 세제곱이죠?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I (2014) - 여러 가지 정적분 문제
· 왜 (3+2/n^k)^2/n에서 fx형태가 아니니까 정적분으로 바꿀때 x로 취급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ㅜㅜ 그리고 제 정석 문제집이 2018년 새 교육과정인데 저 단원<무한급수와 정적분>이 없어요 그이유가 혹시 교육과정에서 빠진 부분인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8) - 삼각함수의 그래프
· 문제에서 다음 x의 함수 라는 표현이 이상하지 않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I (2018) - 함수의 미분
· 수학 하 연습문제 26-30답지에 note에 써져있는 부분인데요 이거 설명좀 해주시면 좋을것 같아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 왜 엑스는 (땡)와이 플러스 (땡)이면 루트 안이 완전제곱인가요? (땡) 이 유리수라는 조건도 없는데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8) - 삼각형과 삼각함수
· 11-13 에서 답지는 대각선 BD를 그어 문제를 풀었는데 저는AC를 그었거든요 그랬더니 길이가 2루트 19가 나와서 특수각에대한 삼각비값이 안나와서 코사인법칙으로 각을 못구하는데 이런 경우 안되는것을 받아들이고 대각선 BD를 긋는 태세전환을 해야되나요 11-17 문제에서 '반직선' AC, AB 위에 점 B,C를 잡는다 했는데 반직선의 의미가 있나요 답지는 선분AB AC의 연장선에 P,Q를 잡았는데 저는 선분 AB,AC 사이에 P,Q를 잡고 풀었는데 또 왠지는 까먹었는데 안풀렸거든요.. 이런때도 마찬가지로 안되는구나 인정하고 다른 방법을 찾아야하는건가요. 반직선 위에 점을 잡았다 <==> 연장선 위에 점을 잡았다 인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I (2018) - 함수의 미분
· 1.미분가능하다의 수학적의미가 1.미분계수가 존재해야하고 2.접선을 그을수 있어야 하자나요. 그런데 이중 하나만 만족하면 어떻게 되나요. 예를 들어 y=루트 절댓값 x의 x=0 에서의 미분가능성 따질때 그래프의 우측과 좌측에 각각 할선을 그어놓고 x=0으로 가까이 해보면 두경우 모두 y축으로 점점가까워지는데 좌, 우미분계수가 정의되지 않고(같나?) 접선은 그을수 있는 상황이 되는데요, 또 뾰족점(첨점) 이기도 한데 접선을 긋는 부분이 곡선이여서 될것 같기도 하고.. 또 미분가능하기 위에서는 연속조건과 좌,우 미분계수만 같으면 되는 것인가요 극한 개념을 사용하여 접선을 정의하면 어떻게 정의될까요 2.미분에서 dx dy 쓰자나요 거기서 d의 의미가 무엇인가요.. d끼리는 약분이 안되고 합성함수 미분에서 dx dy끼리는 수처럼 약분되고.. d가 도대체 뭐죠? dx dy끼리는 사칙연산 다 가능한가요 곱셈 나눗셈만 가능한가요 또 미분하면 항상 차수가 낮아지나요? 3.y=x분에1 이랑 y=루트x 와 같은 함수들을 미분할때 분명히 전자는 x=0, 후자는 x&amp;lt;0 에서 불연속이여서 미분 불가한데 왜 p.51에 보면 그에 대한 언급이 없는거죠 4.p.61에서 모범답안 5번째 줄에 x=a에서 미분가능함으로 좌극한과 우극한을 정리하는 과저인것은 알겠는데 h----&amp;gt;0-가 조금 거슬리네요. h는 x의 변화량인데 그 변화량이 0보다 는 조금 작은값에서 0으로 가는 상태인것을 표시한것 같은데 증분이 음수라는게 말이 되나요.. 5.p.62에서 모범답안 넷째줄에 f(a)=ma+n식이 있는데 이 식을 a 에 관한 항등식으로 봐서 바로 미분해서 f프라임(x)=m 이라는 결론을 바로 내려도 되나요 cf) 무한대(뫼비우스 띠)를 수로 볼수도 있나요. 정석은 아니고 다른 책에 무한대*0(무한소말고 진짜0)하면 0이라는데. 무한대가 수가 아닌 커지는 상태이면 수와 수가아닌것을 연산한다는것 자체가 이상한것 아닌가요.. 또 0/0꼴의 극한값을 못구하는 경우도 있나요(발산하는경우) 예시가 혹시 있을까요.. 질문 많아서 죄송합니당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8) - 등차수열
· 모범답안에 있는 an=bm 의 의미가 무엇인가요. 왜 굳이 두 수열의 일반항의 변수를 다르게 잡는건지요 만약에 변수를 같게 n으로 잡으면 연리하여 얻은n값의 의미는 "같은 수가 5번째 항에서 나온다" 가 되는데요 변수를 다르게 하면 n과 m의 관계식이 나오게 되는데 혹시 an=bm 의 의미가 " 서로 같은 번째에 같은수가 나온다" <==> "새로운 하나의 수열이 생기기가 가능하다" 로 해석해도 무방한가요. 그리고 그 수열이 이 문제에서는 cn인가요 두 수열의 일반항을 연립할때 두 수열의 일반항의 변수를 같게할때와 다르게할때의 의미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II (2014) - 정적분의 계산
· 17번과 18번에서 사용된 치환 적분 법은 교육과정에서 흔히 사용되는 내용인가요? 만약 그렇다면 어떤 경우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8) - 삼각함수의 정의
· 루트 sin^2세타 가 왜 절댓값 sin세타 인지 모르겟습니다. (sin세타)^2이 sin^2세타 인가요? sin루트세타 아닌가요?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II (2014) - 정적분의 계산
· 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 잘 듣고 있는 학생입니다. 20-5에서 (인테그랄 0부터 1까지 절댓값 e의 x제곱 마이너스 a dx)이라는 함수가 연속이라고 하시고 (2)에서 이 정적분의 최솟값을 구하셨는데 왜 이 함수가 연속인가요?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II (2014) - 삼각함수의 그래프
· 최솟값 산술평균으로 구하셨는데 그래프 보면 t가 0일 때 최솟값을 가지는 것처럼 보여요..왜 산술기하를 쓴거죠..저였다면 그래프 보고 최솟값1이라고 했을거 같은데ㅠㅠ 알려주세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I (2018) - 속도·가속도와 미분
· 여기에서 접선의 기울기의 그래프와 직선이 두점에서 만난다고 하는 것을 왜 기울기가 k인것과 평행한 직선과의 두점으로 문제를 푸는지 이해가 안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