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I (2014) - 부정적분
· 왜 (f(g(x))'=f'(g(x)) x g'(x) 인지 모르겠씁닏다.ㅜㅜ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I (2014) - 부정적분
· 1. 부정적문 기본 공식에서 (3)을 증명할 때 양변을 미분한 것이 같다는 것을 보여도 된다고 책에 나와있는데 증명과정은 이해가 되요! 근데 적분상수의 차이는 무시한다라는 말이 어떤뜻인지 모르겠어요!! f(x)-g(x)=c인데 적분상수의 차이를 무시하면 (3)이 증명된다고 하는데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8) - 삼각형과 삼각함수
·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필수 예제 11-12번에서 선분 AB의 길이가 926m라고 말씀하셨는데요, 배의 속력이 1노트가 아닌 10노트니까 선분 AB의 길이는 9260m가 되어야하는 것 아닌가요?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II (2014) - 극대 · 극소와 미분
· 문제를 푸실 때 이계도함수를 구하지 않으시던데, 혹시 어떻게 오목, 볼록을 판정하셨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8) - 삼각함수의 정의
· 이전 교육과정으로 미적분II에 해당하는거 그냥 따로 ebs에서 들어도 차질이 없나요? 제가 이번에 자사고로 편입하게 되어서 수1내용을 학교에서 듣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ebs 특강같은 강좌로 수박 겉핥기 식으로 해서 강좌 한번 더 듣고 정석 들으려 하는데 그게 맞겠죠? 워낙 개념서중에 최강이라..ㅜㅜ 그리고 y=3같은 상수 함수는 다항함수 인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유리함수의 그래프
· 이떄 답 쓸때 5/2<=x<3 or 3<x<=7/2 이라고 해야되는건가요? 아니면 그냥 콤마만 붙여도 되나요? ,나 or이나 같은건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유리함수의 그래프
· a = b/c 이면 1/a = c/b 라고 봐도 되나요? 원리를 알 수 있을까요..? -
[차현우] 실력편 확률과 통계 (2014) - 확률의 정의
·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 확률은 각 근원사건이 일어날 가능성이 같은 정도로 기대될 때만 정의되기 때문에 같은 노란색 공 3개도 서로 다른 공으로 취급을 해서 문제를 풀어도 된다고 하셨는데, 그럼 모든 경우에서 그렇게 풀어도 되는건가요? 예를 들어 연습문제 6-7번에서 문제에는 서로 다른 상자 3개이지만 같은 상자로 바꿔도 확률은 같다 이 말씀이신가요? 아직 확실히 개념이 정립이 안되서 분할단원에서 같은 공, 같은 상자 그 문제 할때랑 개념이 좀 혼동이 됩니다.. 애초에 확률은 아예 다른 개념인지 제가 무엇을 오개념으로 알고있는지 짚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명제의 증명
· 23-17 번에서 중점 m이 왜 대각선의 교점인 지 알고 싶습니다.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8) - 삼각형과 삼각함수
· 선생님, 안녕하세요. 연습문제 11-22 첫번째 설명해 주신대로 풀면 a^2-a+1-b^2=0 이 나오는데요, 그 다음엔 어떻게 풀어야 하나요? 인수분해가 안 되서 어떻게 풀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무리함수의 그래프
· 여기에서 두 함수를 연립한 값이 2또는 6이 나왔는데 그러면 그래프의 교점이 x가 2일때랑 6일때 두 점에서 만나는 거 아닌거요? 근데 그래프에서는 한점에서만 만나는데 그럼 2라는게 어떻게 나오는건지 이해가 안가요 교점이 한개라면 근도 한개가 나와야 하는 거 아닌가요?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I (2014) - 함수의 미분
· 정석 유제문제를 풀다가 미분계수를 구했는데 그 값이 0/1이 나왔습니다. 이건 미분계수가 없는건가요? 아니면 0이 미분계수인가요?? -
[차현우] 실력편 기하와 벡터 (2014) - 타원의 방정식
· 저번 질문에 대한 답변에서 '도형의 방정식을 연립하여 실근을 갖는다는 의미는, 두 도형의 교점이 존재한다는 의미가 되어, D≥0인 상황을 찾아낸 것'이라고 하였는데, 두 식에서 y를 소거하여 정리한 식 x^2-(2a-1)x+a^2-2=0의 판별식 D≥0인 모든 a에 대하여 두 곡선이 만나지는 않습니다. 이를테면 a=-2, -3, -4, …일 때 두 곡선이 만나지 않습니다. D≥0이면 위의 x에 대한 방정식은 실근을 가지지만 두 도형의 교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
[차현우] 실력편 기하와 벡터 (2014) - 타원의 방정식
·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I (2014) - 속도ㆍ가속도와 미분
· 질문을 많이 해서 죄송합니다. 근데 머리 끝 그림자의 길이를 100T라고 하셨는데 그 이유가 1초 지날때 마다 100M씩 머리끝이 움직이니까 100T를 미분한다 라고 생각해야 되는게 맞나요??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I (2014) - 속도ㆍ가속도와 미분
· 1. 순간변화율과 속도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면 되나요? 예) 예제문제에서 선분 AR 의 순간변화율을 구할때 시간으로 미분하였기 때문에 속도랑 같은 것인지 헷갈려요! 2. 유제 문제에서 보면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가 매초 1CM 의 비율로 증가하고, 높이가 매초 1CM 의 비율로 감소하는 원기둥이 있다.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가 3CM, 높이가 10CM일때, 원기둥의 부피의 순간변화율은' 이라는 유제가 있는데 풀이를 봤을 때, 그냥 반지름 3CM, 높이 10CM 인 원기둥이 0초 지났을때로 잡아서 푸는데 아무렇게 예를 잡아도 상관없는 부분인가요? -
[차현우] 실력편 기하와 벡터 (2014) - 타원의 방정식
· 두 식에서 y를 소거하여 정리한 식 x^2-(2a-1)x+a^2-2=0의 판별식 D≥0이라고 해서 두 곡선이 만난다고 할 수는 없는데 이는 어떻게 된 일이며, 연습문제 풀이에서 D≥0이면 이 방정식이 실근을 가져서 두 곡선이 만나는 것처럼 설명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
[차현우] 실력편 확률과 통계 (2014) - 경우의 수
· 1조에 a1b1 2조에 a2b2이고 1조 우승자가 a1 2조 우승자가 b2인 경우는 따지지 않나요? -
[차현우] 실력편 확률과 통계 (2018) - 순열
· 원순열을할떄 (n-1)!으로계산하고 또는 하나를 고정시키면 그냥 순열이된다하셧는데 예제2-11-1)을보면 부부를 aA라고놓으면 A를 한쪽에 고정시켜서 a가양쪽에오는 경우의 수2곱하기 나머지8!을해서하는데 고정하는 게 a A일수도 있고 약혼자8명일수도 있는데 왜 10은 안곱하는거에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 (2018) - 로그
· Advice에 나와있는 로그의 성질이 이해가 안돼요 설명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