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II (2014) - 지수방정식과 로그방정식
· 치환한 a,b,c는 1 , 1/2 , 2 중 하나일때, 셋의 범위를 추정하는 과정에서 밑과 진수가 같으면 1이기때문에 b는 밑이 진수보다 크므로 제일 작다고 하셧는데, 이게 밑이 0과 1사이일때도 성립하는 조건인가요? 가령 x가 1/8, y가 1/4, z가 1/2라 하면 b가 제일 크잖아요? 제가 다른 조건을 간과하고 질문한 것인지, 선생님이 옳으신건지 궁금합니다.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II (2014) - 지수방정식과 로그방정식
· 안녕하세요 내년 수능 수학 가형 원점수 100점을 맞고싶은 학생입니다. 뭔가 선생님 말 한마디면 해결될 것 같은 의문이 있어서 질문드려봅니다. 3에 x승을 t로 치환할 때 t>0 입니다. 근데 범위를 나눌때 t=0일때도 포함하던데 왜 이렇게 되나요? 분명 t>0 이잖습니까. 1단원에서도 이렇게 하시길래 의문이 들긴했는데 제가 이상한건지 아니면 당연한 논리를 모르고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항상 선생님 믿으면서 열심히 듣고있습니다. 화이팅!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다항식의 연산
· 10번 설명하실 때 8번 확장형이라면서 전개하는 부분이요 어떻게 그렇게 전개가 되는거에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집합
· A∩(C∪D^C)을 분배법칙해서 (A∩C) ∪(A-D)가 될 순 없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명제와 조건
· x+y<2 이면 x<1 또는 y<1이 왜 참이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참이 되려면 x<1 이고 y<1이어야 하는 게 아닌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 연습문제 10-17에서 포물선과 직선을 연립하면 직선과 포물선의 교점을 나타내는 식이잖아요. 그런데 왜 그 식을 가지고 포물선과 x축의 교점의 위치를 사용해서 문제를 푸나요? 포물선과 직선의 교점의 위치를 가지고 풀어야하는거 아닌가요? 이해가 잘ㄹ안되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함수
· f(77)은 합성수니까 x/p를 합니다. 근데 77의 가장큰 소인수는 11이 아니라 77 자기 자신 아닌가요? 이해가 안되요. ^^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도형의 이동
· 문제에서 y=2x의에 있는 점 Q의 좌표를 구하라고 했는데 선생님께서 x축 위의 점 R의 좌표를 구하라고 하신 것 같아서요.ㅇㅅㅇ 혹시 제가 잘못 본거면 죄송해요. -
[차현우] 실력편 확률과 통계 (2014) - 확률분포
· 정석 교재 174~175페이지에 있는 이항분포의 평균과 분산을 미분을 통해 증명하는 과정에서, 양변을 미분할때 시그마가 r=0부터 이던 것이, 미분을 하면 r=1, r=2로 부터 시작됩니다.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II (2014) - 극대 · 극소와 미분
· x/lnx 그래프에서 x를 1+로 보내면 1+/0+꼴이 되잖아요?그런데 왜 이게 플러스무한대로 가는 겁니까?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원의 방정식
· 왜 2m의 제곱 -3n-2=0인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I (2014) - 일차함수
· 여기서 2a-2>=0이 된다고 할 수 있는 이유가 동그라미 1번 경우까지 생각해줘서 그런 건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 II (2014) - 일차함수
· 여기서 식에 절대값이 있어서 원점대칭이라고 하셨는데 x축 대칭과 y축 대칭은 왜 안 되는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직선의 방정식
· 왜 y-0=-2(x+2)인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직선의 방정식
· 수학이 깔끔하고 담백한 것이 무엇인가요?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연립방정식
· (ⅲ)에서 (1-a)(1+a)y = a(a-1)이면 y = -a(1-a) / (1-a)(1+a) = -a / a+1 아닌가요? -
[차현우] 실력편 확률과 통계 (2014) - 확률의 곱셈정리
· 두 용어의 정의는 이렇습니다. 배반사건 : 어느 한 사건이 일어나면 다른 사건은 일어나지 않을 때. 독립 : 사건 A가 일어나든, 일어나지 않든 사건 B가 일어날 확률이 달라지지 않을 때. 실제로 증명을 해보면 사건 A와 사건 B가 '배반사건이면 독립사건이다' '독립사건이면 배반사건이다' 라는 두 개의 명제는 틀린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둘의 개념이 조금 혼동됩니다. "아니, 배반사건이면 벤다이어그램을 그렸을 때 A랑 B랑 관련 없는거 아니야? 근데 왜 독립이 아니지?" 이런 것 과 비슷한 생각이 드는 거죠. 문제를 풀 때는 배반사건인 경우 P(A교집합B)=0 독립사건인 경우 P(A)P(B)=P(A교집합B)로 풀고 있습니다만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공식을 이용하는 풀이로 느껴집니다. 어떻게 이해하면 개념을 명확하게 정립할 수 있을까요? -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II (2014) - 극대 · 극소와 미분
· 15-11(2)번 f(x)=x²lnx를 미분하면 2xlnx+x가 되고 x로 묶으면 x(2lnx + 1)이 됩니다. 그러면 x는 0과 e^-½이 되는 거 아닌가요? 답을 보니 e^-½만 된다고 나와있습니다. -
[차현우] 실력편 수학(하) (2018) - 다항함수의 그래프
· 실력편 개정 수학하 연습문제 기본 26-6에서 A를 (1,0) b를 (4,0) c를 (6,0)이라 두고 p를 (a,0)이라 해서 점과 점사이의 공식해서 a의 이차함수의 최솟값구하기 처럼해서 하니까 11/3이 나왔는데 답이 4도 거리가5이고 11/3도 거리가 5인것같습니다. -
[차현우] 실력편 수학(상) (2018) - 삼차방정식과 사차방정식
· 상반방정식은 모든 차수에 다 해당 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