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I (2014) - 정적분의 계산 | 
| 구분구적법에서 정적분으로 넘어갈때 | 
왜 구분구적법한 것이 정적분한거랑 똑같은지는 고등학교에서 하지 않는 건가요?  | 
            
안녕하세요. 
정적분의 정의 자체가 구분구적법으로 구한 도형의 넓이의 합입니다. (실력정석 181p 위쪽)
그리고 이를 미적분의 기본정리를 이용해서 (182~183p) 결론은 정적분의 계산은
부정적분을 한 후 거기에 a,b 를 대입해서 뺀다 라는것입니다. 
정적분의 정의가 넓이와 연관되어 있고 그 과정에서 
함숫값이 직사각형의 높이에 해당하게 됩니다. 
그런데 높이가 음수가 될 수는 없으므로 함숫값의 절댓값을 적분하면 넓이가 나오게 되는것입니다. 
열공하세요!  |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