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삼각방정식과 삼각부등식 |
연습문제 10-16 근의 분리 |
이차함수와 근의 분리가 정확히 어떨때 쓰이는 건가요? 이차함수의 두 근이 있고 그때의 어떤 수의(두 근과의 위치상의 관계)조건에 따른, 조건으로 도출할수 있는 다른 관계들을 말하는건가요? 느낌으로는 아는데 정확히 수학적으로 '근의 분리'를 왜 근의 ''''''''분리''''''''', 분리를 붙였는지 또, 정확한 정의가 뭔지 궁금해요ㅠㅠ 밑에 복붙해둔것처럼 언제 쓰이는지는 정확히 알아요 --------------------------------------------------------------------------------- 이차함수와 근의 분리 이차방정식 ax2 + bx + c = 0 (a ? 0)의 두 근을 α, β(α ? β) 라 할 때, (1) 두 근이 모두 k보다 클 조건 ⇔ f(k) ? 0, D ? 0, (대칭축) ? k (2) 두 근이 모두 k 보다 작을 조건 ⇔ f(k) ? 0, D ? 0, (대칭축) ? k (3) 두 근 사이에 k 가 있을 조건 ⇔ f(k) ? 0 (4) 두 근이 모두 p, q(p ? q) 사이에 있을 조건 ⇔ f(p) ? 0, f(q) ? 0, D ? 0, p ? (대칭축) ? q (5) 두 근 사이에 p, q(p ? q) 가 있을 조건 ⇔ f(p) ? 0, f(q) ? 0 (6) 한 근 만이 p, q 사이에 있을 조건 ⇔ f(p)·f(q) ? 0 [네이버 지식백과] 이차함수와 근의 분리 (통합논술 개념어 사전, 2007. 12. 15., 한림학사) |
안녕하세요.
질문에 대한 관련 답변입니다.
이름 자체가 왜 근의 분리라고 지었는지는 모릅니다.
두근이 어떤 특정한 조건 (예를들어 두근이 모두 양수라던지 모두 음수라던지 부호가 다르다던지.. 등등)이 있을때
두 근을 직접 구하지 않아도 이차방정식의 어떤 특정한 상수 (예를들어 a의 범위 또는 m의 범위) 를 알고자 할때
두근의 곱, 두근의 합, 판별식 또는 어떤 특정한 관계식을 이용하여 구하는 것을 근의 분리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