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의 정석

메뉴 로그인
회원가입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인수분해
2. 기본공식의 활용 3. 다항식의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_00:30:25

인수분해의 정의가 다항식을 두 개이상의 다항식의 곱의 꼴로 나타낸 식이라고 30페이지에 쓰여 있는데요, 기본문제 2-9 (2) 설명해주실 때, 워낙 문제에서 유명하게 다루다는 말씀과 함께, 인수분해가 다 끝났지만 식을 변형하신다고 말씀하셨는데요 (x-y)*1/2{(x+y)^2+(y+z)^2+(z+x)^2} 이 식은 인수분해 꼴이 아닌가요? 왜 아닌지....모르겠습니다ㅠㅠㅠㅠ 설명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질문에 대한 관련 답변입니다. 인수분해 형태가 되려면 다항식이 전부 곱하기로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예를들어 (x+1)(x+2) 는 인수분해 된 것이지만 (x+1)(x+2)+3 은 인수분해 된 것이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