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의 정석

메뉴 로그인
회원가입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삼각함수의 정의
호도법을 사용할 때 - 원래 각이 음수이면?

호도법을 사용할 때 원래 각이 음수여도 성립이 되나요? 일반각의 양의 각, 음의 각을 말할 때, 가령 -144도 라고 하면 시초선 에서 시계방향으로 144도 만큼 돌아간 것인데, 이때 -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라서 방향을 생각하지 않는다면, 도형의 모양은 144도랑 같지 않나요? 그러면 144도랑 -144도에 호도법을 사용해야 할 때, (도) x (파이)/180 를 하면, 앞부분은 양수가 나오고, 뒷부분은 음수가 나오는데, 이렇게 나와도 가능하나요? 자세히 답변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에 대한 관련 답변입니다. 호도법을 사용할 때 원래 각이 음수여도 성립이 되나요? 답변)네 각이 음수일때도 호도법을 이용할수 있습니다. 일반각의 양의 각, 음의 각을 말할 때, 가령 -144도 라고 하면 시초선 에서 시계방향으로 144도 만큼 돌아간 것인데, 이때 -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라서 방향을 생각하지 않는다면, 도형의 모양은 144도랑 같지 않나요? 답변)네 144도 각을 일반각을 이용하여 여러방법으로 나타낸것입니다. 그러면 144도랑 -144도에 호도법을 사용해야 할 때, (도) x (파이)/180 를 하면, 앞부분은 양수가 나오고, 뒷부분은 음수가 나오는데, 이렇게 나와도 가능하나요? 답변) 정확히 무슨 말인지 모르겠지만 육십분법에서 음수각이라면 호도법에서도 음수각으로 표현됩니다.

안녕하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