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등차수열 |
조화평균은 평균속력을 구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
강의에서 조화중항을 설명할 때, 조화중항은 조화평균과 모양이 같고, 이것은 평균속력을 구할 때 사용하는 것이라고 했는데, 평균속력을 구할 때에는 평균(산술평균) 이 아니라 조화평균을 사용하는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해가 잘 안 되는데, 그것을 여기서 간단히 증명하실 수 있나요? (예와 같이요)평균속력은 그냥 속력과 뭐가 달라서 앞은 조화평균을 쓰고, 뒤는 그냥 산술평균을 쓰는지가 궁금합니다. |
안녕하세요.
질문에 대한 관련 답변입니다.
예를들어 A지점에서 B지점까지 가는데 갈때는 v1의 속력으로 올떄는 v2의 속력으로 온다고 했을때
평균속력은 전체 거리를 전체시간으로 나눈 값입니다. 식을 정리해서 나타내면 조화평균 모양이 됩니다.
서 조화중항을 설명할 때, 조화중항은 조화평균과 모양이 같고, 이것은 평균속력을 구할 때 사용하는 것이라고 했는데, 평균속력을 구할 때에는 평균(산술평균) 이 아니라
조화평균을 사용하는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해가 잘 안 되는데, 그것을 여기서 간단히 증명하실 수 있나요? (예와 같이요)평균속력은 그냥 속력과 뭐가 달라서
앞은 조화평균을 쓰고, 뒤는 그냥 산술평균을 쓰는지가 궁금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