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의 정석

메뉴 로그인
회원가입
[차현우] 실력편 미적분 (2018) - 정적분의 계산
필수예제 15-6

(1)과 (2) 모두 x를 a가 들어간 꼴로 치환합니다. 여기서 저의 의문은 문제에서 이미 a라는 문자를 사용하고 있고, a는 상수인데 무작정 x를 a를 이용한 식으로 치환이 가능한 이유가 이해가 안 됩니다. 이렇게 치환을 했을 때, (1)에서는 asin세타가, (2)에서는 atan세타가 가능한 모든 x를 커버하는 식이 될 수 있나요?

이 때 변수는 x와 쎄타입니다. 주어진 범위에서 x와 asin쎄타가 일대일대응이라면 치환할 수 있습니다. 보통 복잡한 형태를 간단하게 치환하지만 반대로 간단한 형태도 일대일대응이기만 한다면 복잡한 형태로 치환이 가능하답니다.

안녕하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