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의 정석

메뉴 로그인
회원가입
[차현우] 실력편 대수 (2025) - 삼각함수의 그래프
연습문제 9-10

ㄴ에서 p가 무리수일때는 왜 고려하지 않는건가요?

주기함수라는 의미는 f(x)=f(x+p) 인 양수p가 존재한다는 뜻입니다. 확인했듯이 p가 유리수가 된다면 주기성을 가지기 때문에 주기함수이고 실제로 무리수인경우 성립할지 아닐지 체크는 안했지만. p가 있기 때문에 주기함수입니다. 다만 주기가 얼마냐? 는 구할 수 없습니다. 주기의 정의가 반복하는 최소 양의 단위이기 때문에 최소인 p값을 구할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