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삼각형과 삼각함수
· 기본문제 11-14에서 왜 산꼭대기를 바라보았을때의 그림이 입체도형이 되고,왜 S위에 산 꼭대기가 있는건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삼각형과 삼각함수
· 기본 문제 11-13 에서 왜 각 AQP의 크기가 직각인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하) (2018) - 명제와 조건
· 안녕하세요. 학교 시험에서 이런 정의와 관련된 내용에 대한 오류를 제기했는데 선생님들께서 상의를 하고 있다고 하시지만 다들 제 생각에 동의하지 않는 분위기여서 정석에 나온 문제는 아니지만 여쭤봐요….죄송하지만 한 번 생각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전체집합 U={1,2}에서 조건 p: x-a=0이고 a는 자연수일때, a가 될 수 있는 수는? 위의 질문에 대한 답으로 저는 전체 집합에 상관 없이 모든 수를 고려할 수 있다고 보았고, 학교 선생님들께서는 일반적으로 생각했을 때 a는 U 안에서만 생각하여 1,2 밖에 될 수 없다고 하셨습니다. 하지만 저는 조건은 전체 집합에 상관없이 성립되는 것으로 p의 진리집합을 구할 때에 조건 p에 해당하는 원소가 U에 있으면 p의 진리집합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니 a가 1,2이 아닌 모든 자연수일 때, P={} 이 된다고 생각해요. 혹시 제 생각에 오류가 될 만한 것들이 있을까요..? 짧지 않을 글 읽어주셔서 미리 감사합니다!!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최대와 최소
· 2번에서 선생님과는 달리 범위를 1.a가 -1보다 크거나 같을때 2. a가 1보다 크거나 같을때 3.a 가 -1보다 크고 1 보다 작을때로 범위를 나눠도 상관없죠? -
[소순영] 기본편 수학(하) (2018) - 명제의 증명
· a와 b가 0이 아닌데 어떻게 a제곱이 0이 되나요? -
[차현우] 기본편 미적분 (2018) - 도함수의 성질
· cos1/x의 값에서 1/x는 무한대로 가기때문에 진동인건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8) - 함수의 극한
· 교과서 문제인데, 문제풀이의 흐름이 이해되지 않아 질문 남깁니다. 표시한 부분과 같이 이 문제에서는 ‘f(x)가 무한대로 발산하고 h(x)가 2로 수렴하니 h(x)/f(x)는 0으로 수렴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문제를 풀어주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극한의 기본 성질은 극한값 계산시 하나의 함수를 특정 값에 수렴하는 함수들의 합,차 곱 몫으로 나눌수 있는 것이지만, 해당 문제에서 f(x)는 발산하고 있으므로, 애초에 lim{h(x)/f(x)}= lim{h(x)}/lim{f(x)}=2/∞=0과 같은 계산이 불가능한 것 아닌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8) - 함수의 미분
· 파일 첨부합니다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다항식의 연산
· 여기 계산 -x가 아니라 -2x 아닌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 안녕하세요 여기에서 역함수 식 구하는 부분까지는 이해가 되는데,, 역함수의 정의역이 어떻게 갑자기 그렇게 나온건지 잘 모르겠네요;; 역함수 구하기 전 단계에서의 치역이 역함수 구하고 난 뒤의 정의역이 되는 것도 알겠는데요, 그렇게 해서 x가 0보다 크거나 같다는 결론이 어떻게 나온건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 여기에서 역함수 구할 때. 역함수 식을 구하고 난 다음에 정의역을 썼잖아요, 어떨때에는 역함수식을 구하고 그 옆에 정의역을 쓰는데, 어떨 때에는 역함수식만 구하고, 옆에 정의역을 안쓰더라구요... 역함수 식을 구하고 난 다음에 그 옆에 정의역을 적고 안 적고의 기준이 뭔가요? 그러니까, 어떨때 역함수 식을 구하고 난 다음에 옆에 정의역을 쓰면 되는건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8) - 함수의 미분
· 파일 첨부합니다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일차ㆍ이차방정식
· 안녕하세요. 기본정석 수학(상) 108페이지의 설명에 따르면 3χ + 2χ = 5χ 와 같이 어떤 χ에 대해서도 항상 성립하는 등식이 항등식 3χ + 2χ = 5 와 같이 χ=1이라는 특정한 값에 대해서만 성립하는 등식을 방정식 이라고 기술되어 있습니다. 그러면 일차방정식 aχ = b 의 꼴에서 1) a=0, b≠0 일때 해가 없다(불능) 라고 기술하고 있는데, 이 경우 aχ = b는 방정식이라고 할 수 있는건가요? 이 경우의 aχ = b를 방정식이 맞다고 하는 것은 상단에서 기술한 방정식의 정의(특정한 값에 대해서만 성립하는 등식)와 배치되고 맞지 않는 것 같습니다. 특정한 값에 대해서만 성립하는 등식이 방정식인데 해가 없다고 하면 이것은 등식을 성립시키는 해가 없다는 것이고 특정한 값도 없다는 것인데 어떻게 이 경우의 aχ = b를 방정식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일까요? 2) a=0, b=0 일때 해는 수 전체(부정) 라고 기술하고 있는데, 이 경우 aχ = b는 항등식이라고 할 수 있는건가요? 이 경우 어떤 χ에 대해서도 항상 성립하는 등식이므로 항등식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그러면 이 경우 aχ = b는 방정식이면서 동시에 항등식이라고 할 수 있는건가요? 이 경우의 aχ = b는 방정식은 아니고 항등식은 맞다고 해야 하는 것 아닌가요? 왜냐하면 상단에서 기술한 방정식의 정의(특정한 값에 대해서만 성립하는 등식)와 배치되기 때문입니다. 과연 '수 전체(모든 수)'를 '특정한 값'으로 볼 수 있느냐의 문제입니다. 만약에 그렇다고 하면 모든 항등식은 방정식이다 라고 하는 명제가 성립한다고 볼 수 있는건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삼차방정식과 사차방정식
· 50분 54초에 판별식을 풀 때 m이 -4미만 4초과 아난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지수
· a와 b가 음수이면 왜 성립이 안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예시도 부탁드립니다.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 근의 분리에서 범위 중 하나가 인수분해가 되지 않을 경우 어떻게 해야 되나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8) - 함수의 연속
· (무한대,1)과 같은 경우에는 무한대 부분에서 닫힌구간을 정의할 수 없어 사잇값 정리를 사용할 수 없는건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지수
· 9페이지 보기1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8) - 함수의 극한
· 유제 1-12에서 p가 점 B에 가까워지면 왜 a-> 1- 이고 이것을 통해서 (1/a)+1/(1/a) 라는 식의 a에 어떤 값을 대입해야 하나요? r그리고 왜 그런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다항식의 연산
· 이 강의에서는 왜 유제가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