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삼각방정식과 삼각부등식
· 그래프를 그릴때 항상 음수부분도 그려랴 하나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지수부등식과 로그부등식
· 로그 공식 이용해서 사진처럼 풀 수도 있지 않나요? 근데 왜 답이 다르게 나오는지 모르겠네요ㅠ 제 풀이에서 틀린점 알려주세요. 그리고 저렇게 푸는게 아예 안되는 방법이라면 그 이유까지도 같이 알려주세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삼각함수의 그래프
· 풀이할 때 x'이랑 y'을 정해서 그걸 또다시 x,y에 대해 정리해서 식에 대입하는 이유는 뭔가요? 그냥 문제에서 준 점의 이동을 그대로 식에 대입하면 안되는건가요? 왜 안되는건지 이유까지 알려주세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 굳이 완전제곱식이 되어야 할 이유를 잘 모르겠어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삼각함수의 기본 성질
· 풀이 처음부분 sin제곱A/2는 (1-cos제곱)A/2 왜 아닌지요? 1-cos제곱A/2로 풀이 되어있어서 ㅠㅠ -
[소순영] 기본편 수학(하) (2018) - 다항함수의 그래프
· x=3일때 책에는 [x-2]라고 되어있고 선생님 강의 판서에는 [x-3]이라고 되어있는데 선생님이 잘못쓰신거 아닌가요?? -
[소순영] 기본편 기하 (2018) - 벡터의 뜻과 연산
· 연습문제 4-2같은 경우에는 |백터a+벡터b+벡터c| 와 |벡터a-벡터b+백터c|를 따로 계산한 후 더해줘서 답을 얻었지만, 연습문제 4-3에서는 벡터a 와 벡터b를 따로 계산하여 더해주지 않고, |벡터a+벡터b|를 평행사변형 법과 비슷하게 해서 문제를 풀었어야 했습니다. 두 문제가 겉으로 보기에는 비슷한데 문제 풀이 방법이 다르더라고요. 연습문제 4-2번을 4-3번을 푼 것 처럼 평행사변형을 이용하여 풀었는데 오답아 나왔고, 4-3번은 4-2번 처럼 따로 계산해서 더해줘봤더니 오답이 나왔습니다. '따로 계산한 후 더해주기' 방법을 써야 할지 아니면 '한꺼번에(평행사변형법)' 방법으로 풀지 구분하는 기준이 무엇인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지수부등식과 로그부등식
· 기본문제 6-4(1)에 문제를 풀긴 풀었는데, 문제에서 의도한 뜻이 뭔지 잘 모르겠어서 질문 남깁니다. 보통 허근을 가진다고 하면 판별식이 0보다 작다고 하는 건 알겠는데,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가진다는게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네요... 일단 허근이라는 말이 들어가길래 판별식이 0보다 작다는 식부터 세웠는데,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가진다는게 뭘 의미하는 말일까요...? 무슨 뜻인지 모르겠네요... 허근을 가지면 허근을 가지는거지 서로 다른 두 허근은 또 뭘까요...? 그리고 그러면 허근의 개수에 따라서 판별식을 사용하는 것도 달라지는 건가요...? 자세한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삼각형과 삼각함수
· 기본문제 11-14에서 왜 산꼭대기를 바라보았을때의 그림이 입체도형이 되고,왜 S위에 산 꼭대기가 있는건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삼각형과 삼각함수
· 기본 문제 11-13 에서 왜 각 AQP의 크기가 직각인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하) (2018) - 명제와 조건
· 안녕하세요. 학교 시험에서 이런 정의와 관련된 내용에 대한 오류를 제기했는데 선생님들께서 상의를 하고 있다고 하시지만 다들 제 생각에 동의하지 않는 분위기여서 정석에 나온 문제는 아니지만 여쭤봐요….죄송하지만 한 번 생각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전체집합 U={1,2}에서 조건 p: x-a=0이고 a는 자연수일때, a가 될 수 있는 수는? 위의 질문에 대한 답으로 저는 전체 집합에 상관 없이 모든 수를 고려할 수 있다고 보았고, 학교 선생님들께서는 일반적으로 생각했을 때 a는 U 안에서만 생각하여 1,2 밖에 될 수 없다고 하셨습니다. 하지만 저는 조건은 전체 집합에 상관없이 성립되는 것으로 p의 진리집합을 구할 때에 조건 p에 해당하는 원소가 U에 있으면 p의 진리집합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니 a가 1,2이 아닌 모든 자연수일 때, P={} 이 된다고 생각해요. 혹시 제 생각에 오류가 될 만한 것들이 있을까요..? 짧지 않을 글 읽어주셔서 미리 감사합니다!!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최대와 최소
· 2번에서 선생님과는 달리 범위를 1.a가 -1보다 크거나 같을때 2. a가 1보다 크거나 같을때 3.a 가 -1보다 크고 1 보다 작을때로 범위를 나눠도 상관없죠? -
[소순영] 기본편 수학(하) (2018) - 명제의 증명
· a와 b가 0이 아닌데 어떻게 a제곱이 0이 되나요? -
[차현우] 기본편 미적분 (2018) - 도함수의 성질
· cos1/x의 값에서 1/x는 무한대로 가기때문에 진동인건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8) - 함수의 극한
· 교과서 문제인데, 문제풀이의 흐름이 이해되지 않아 질문 남깁니다. 표시한 부분과 같이 이 문제에서는 ‘f(x)가 무한대로 발산하고 h(x)가 2로 수렴하니 h(x)/f(x)는 0으로 수렴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문제를 풀어주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극한의 기본 성질은 극한값 계산시 하나의 함수를 특정 값에 수렴하는 함수들의 합,차 곱 몫으로 나눌수 있는 것이지만, 해당 문제에서 f(x)는 발산하고 있으므로, 애초에 lim{h(x)/f(x)}= lim{h(x)}/lim{f(x)}=2/∞=0과 같은 계산이 불가능한 것 아닌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8) - 함수의 미분
· 파일 첨부합니다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다항식의 연산
· 여기 계산 -x가 아니라 -2x 아닌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 안녕하세요 여기에서 역함수 식 구하는 부분까지는 이해가 되는데,, 역함수의 정의역이 어떻게 갑자기 그렇게 나온건지 잘 모르겠네요;; 역함수 구하기 전 단계에서의 치역이 역함수 구하고 난 뒤의 정의역이 되는 것도 알겠는데요, 그렇게 해서 x가 0보다 크거나 같다는 결론이 어떻게 나온건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 (2018) -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 여기에서 역함수 구할 때. 역함수 식을 구하고 난 다음에 정의역을 썼잖아요, 어떨때에는 역함수식을 구하고 그 옆에 정의역을 쓰는데, 어떨 때에는 역함수식만 구하고, 옆에 정의역을 안쓰더라구요... 역함수 식을 구하고 난 다음에 그 옆에 정의역을 적고 안 적고의 기준이 뭔가요? 그러니까, 어떨때 역함수 식을 구하고 난 다음에 옆에 정의역을 쓰면 되는건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8) - 함수의 미분
· 파일 첨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