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순영] 기본편 수학(하) (2018) - 명제의 증명
· 등호성립 여부를 이렇게 해도 되나요? ab와 0의 괃계를 어떻게 나타내야 하는지 잘 모르겠어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삼차방정식과 사차방정식
· 왜 -
[소순영] 기본편 수학(하) (2018) - 명제의 증명
· 이렇게 풀어도 되나요? 좀 애매한 거 같은데, 어떻게 풀이를 고쳐야하는 지 알려주세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8) -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
· 파일 첨부합니다 -
[소순영] 기본편 수학(하) (2018) - 명제의 증명
· 산술기하평균 또는 코시 슈바르츠로 풀어야할 때가 정해져있나요? 왜 제 풀이가 틀렸는지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
[소순영] 기본편 수학(하) (2018) - 집합
· 집합 B의 해의 범위가 이해가 안 갑니다. X <1이 아니더라도 1보다 약간 오른쪽에 있어도 어차피 합집합이면 해가 실수가 되지 않나요? X>3은 확실히 알겠는데, 왜 x<1인지 잘 모르겠어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하) (2018) - 명제의 증명
· 분모와 분자가 서로소 관계라고 했는데, 둘이 각각 2의 배수로 서로소가 아니어도 약분하면 서로소가 되지 않나요? 그러니까 약분하면 유리수가 되는 것 같은데, 이 부분이 이해가 잘 안갑니다. -
[소순영] 기본편 수학(하) (2018) - 집합
· 집합 B의 해의 범위가 이해가 안 갑니다. X <1이 아니더라도 1보다 약간 오른쪽에 있어도 어차피 합집합이면 해가 실수가 되지 않나요? X>3은 확실히 알겠는데, 왜 x<1인지 잘 모르겠어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8) - 함수의 연속
· 선생님 강의와 모법답안 모두 x=b+1,b-1 에서 f(x)g(x) 가 연속을 조건을 구할 때 좌극한, 우극한만을 비교하고, 함숫값은 언급하지 않았는데, 이미 극한 비교만으로도 답이 구해졌고, 어차피 함숫값을 따져주더라도 동일할 것이니 그냥 생략한 건가요? (연속성을 따질 때에는 항상 함숫값과 극한값을 구해 비교해야하는 것이 아닌가 해서…)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8) - 함수의 연속
· 정석 35p 문제에 사용되는 성질을 설명하실 때, 곱해지는 불연속 함수가 ‘심각하게 불연속’ 이라고 하셨는데(극한값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다른 불연속인경우 2가지 에서도 관계없이 성립하는 건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 II (2018) - 함수의 극한
· 10p 보기 3번에 ‘극한값을 조사하여라’ 라고 되어 있고, (3-1) 의 답에 ‘lim1/x=무한대‘ 라고 되어 있는데, 발산이기 때문에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야하는 것 아닌가요? 특정 상수로 수렴하는 것이 아님에도 왜 ‘lim1/x=무한대‘ 와 같은 기호를 사용할 수 있는지가 잘 이해되지 않습니다. -
[차현우] 기본편 미적분 (2018) - 극대·극소와 미분
· 0분의 1꼴인데 왜 무한대로 가는건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하) (2018) - 합성함수와 역함수
· 합성함수와 역함수 부분에서 예를 들어 h써클 f =g 에서 f를 없애려면 h=g써클 f의 역함수 밖에 안되나요? h=f의 역함수 g써클 으로 계산시 답이 틀리는데 순서를 맞추면서 풀어야 하는 건가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삼차방정식과 사차방정식
· 어떤 조건을 내가 가정했으면 그 조건에서 답을 얻어내는 과정에서 그 조건을 활용할 수 없나요? 이를테면, 12-4의 2번을 풀이하는 과정에서 중근 2를 가진다고 조건을 주어서 2를대입해서 a=-2 가 나오는데 사실 그 것은 중근을 가지는게 말이 안되는 거잖아요. 즉 x에 내가 2를 대입하여 풀면 답이 틀린다는 말인데 이를 어떻게 판단할 수 있을까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삼차방정식과 사차방정식
· 중근은 무조건 서로 같은 두 실근인가요? 서로 같은 두 허근일 수는 없나요? -
[소순영] 기본편 수학(상) (2018) - 최대와 최소
· x의 최댓값, 최솟값을 구하는 것인데 왜 y에 관하여 정리하나요? -
[차현우] 기본편 미적분 (2018) - 여러 가지 함수의 도함수
· 여기에 cosX를 곱하는 이유가 합성함수의 미분에 의해서라고 하시는데 자세한 설명부탁드립니다. -
[소순영] 기본편 수학(하) (2018) - 함수
· 신청한 강의에 대한 질문은 아니지만 수(상)을 공부하다가 궁금한 내용이 있어 아래의 두 가지 질문을 드립니다. 이메일로 답변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선생님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1. 아래 이미지에 대한 궁금증입니다. 위 풀이에서 알파^5+1=0을 만족하는 복소수 5개의 알파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알파^5을=-1 적용하여 차수를 낮추어 나머지를 결정하는 것이 옳은 것은 이해가 되는데 R(알파)=6-2알파를 일반화하여 R(x)=6-2x 로 x에 대한 다항식으로 일반화 되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다시말씀드리면 사차방정식을 만족하는 복소수근 4개가 방정식을 성립시키지만 일반화한 문자 x로 표현할 수 있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2. 두 번째 질문은 f(1)=1, f(2)=4, f(3)=9을 만족하는 다항식 f(x)를 f(x)-x^2=0으로 일반화 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f(x)-x^2=0의 인수가 x-1, x-2, x-3인 것은 이해가 되는데 f(1)=1, f(2)=4, f(3)=9을 만족한다고 다항식 f(x)를 f(x)-x^2=0가 성립한다고 하는 것이 잘 이해가 안됩니다. 두 가지 질문에 대하여 설명 부탁드립니다. 1번 질문 이미지 -
[차현우] 기본편 미적분 (2018) - 부피와 적분
· 그림으로 설명 부탁합니다 왜 r 이 2/y 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해설지 그림으로는 이해가 안 됩니다 -
[소순영] 기본편 수학(하) (2018) - 원의 방정식
· (-2,0)은 어떻게 지나갈 수 있나요??